Page 111 - 고경 - 2023년 8월호 Vol. 124
P. 111

문제이고, 내가 씨름해야 할 문제라는 생각
             이 들기 때문이다.
               보화루의 아래 계단으로 나 있는 문 양쪽

             에는 앞뒤로 사천왕四天王이 그려져 있어

             이  문이  천왕문의  역할도  하는  셈인데,
             누樓가 천왕문의 역할을 할 수는 없고, 원
             래 천왕문을 통과한 다음에 붓다의 세계로

             들어가는 마지막 관문으로 금당과 마주보

             고 있는 것이기에 안양문, 안양루 또는 해
             탈문이나 불이문이라고 하는 것이 더 작합
             하다고 보인다.                                 사진 6. ‘장맹룡비’.

               앞마당으로 들어서면 앞으로 본전인 극

             락보전極樂寶殿이 서 있다. 과거에는 여기에
             추사선생이 쓴 ‘대웅전大雄殿’의 현판이 걸
             려 있었는데, 지금은 서예가 학정鶴亭 이돈

             흥李敦興(1947~2020) 선생이 쓴 ‘극락보전極

             樂寶殿’이라는 현판으로 교체되어 있다. 육
             조시대六朝時代 위비魏碑의 풍을 잘 구사한
             글씨다. 북위北魏 시기의 ‘장맹룡비張猛龍碑’

             의 강한 서풍을 기본으로 하고 ‘정희비鄭羲

             碑’의 부드러움을 가미한 풍으로 썼다. ‘정
             희비’는 효문제孝文帝때 청주자사靑州刺史를
             지낸 사대부인 정도소鄭道昭(?~516)가 써서                사진 7. 정도소 글씨, ‘정희비’.

             세운 부친 정희(426~492)의 비이다. 이렇게



                                                                         109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