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고경 - 2023년 9월호 Vol. 125
P. 84
사진 2. 원목 건조.
있다. 삼의는 세 벌의 옷이라는 뜻으로 사문의 옷이자 출가자를 구별해 주
는 표식이며, 발우는 출가 수행자의 그릇이라는 뜻이다. 삼의는 승가리僧伽
梨(saṃghṭāī), 울다라승鬱多羅僧(Uttara-āsaṅga), 안타회安陀會(Antarvāsa)라는
3종의 가사를 뜻한다. 이는 승려의 소박한 삶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특히 선종에서는 의발전수衣鉢傳授라는 문화가 있는데, 스승이 제자에게
법을 전할 때 그 징표로 가사와 발우를 전해주는 것을 말한다. 스승이 입
던 가사와 스승이 쓰던 발우를 물려주는 것은 곧 법法을 전수하는 것으로
여겨졌음으로 발우는 곧 수행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사찰에서 행해지는 발우공양에는 보통 네 개의 발우가 사용된다. 공양
의 시작은 그 네 개의 발우 중 하나에 맑은 물을 받으면서 시작된다. 식사
량은 자신이 먹을 만큼만 담아 밥 한 톨도 남기지 않고 모두 먹는 것이 발
우공양의 식사법이다. 스님들에겐 음식을 만드는 것도 수행이고, 음식을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