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3 - 고경 - 2023년 12월호 Vol. 128
P. 73
의, 울타라승)를 고정시킨
허리띠 매듭이 보이며, 오
른쪽 어깨를 덮고 내려온
통견 끝자락은 본존불의
오므린 왼손가락으로 잡
고 있다.
이와 같은 복식은 북위
양식의 특징이며 서산 마
애삼존불의 본존불 복식
에서도 보인다. 특히 삼화
령 미륵하생불 통견주름
은 양쪽 무릎 위의 와문형
(소용돌이) 주름이고, 하반
신까지 덮은 통견의 U자
사진 5. 윈강 3굴 북벽 본존불.
주름과 합류한다. 5세기
북위양식이 7세기 신라불상의 복식에서 보이는 상위문화 전이轉移의 대표
적인 예이다.
본존불의 수인 중 오른손은 네 손가락을 오므리고 오른 엄지가 검지의
끝부분과 맞닿아 있다. 손바닥은 전면을 향하고 있다. 불교미술에서 엄지
와 네 손가락을 오므린 수인은 금강역사의 수인에서 볼 수 있지만, 역사상
力士像은 손가락을 오므려 주먹을 쥔 수인이고, 삼화령 미륵하생불의 수인
과는 차이가 있다.
윈강 3굴 북벽 본존불(사진 5)을 보자. 미륵하생불도상의 특징인 의좌상
이며 약 10m 크기이다. 윈강 3굴 본존불은 불신의 윤곽이 드러나는 통견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