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3 - 고경 - 2024년 3월호 Vol. 131
P. 163

구산선문과 그 개산조


               그렇다면 ‘구선선문’ 즉 아홉 개의 산문은 무엇이고, 그 개산조開山祖와

             법맥 계승은 어떻게 이루어진 것일까? 이에 대한 대답은 의외로 쉽지 않

             다. 우선 나말여초 존재하였던 산문이 구산선문 이외에도 진감혜소의 쌍
             계산문, 순지의 오관산문 등 4~6개의 산문이 존재하고 있고, 산문의 개
                                    2)
             조開祖와 실제 개산조開山祖 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신라의 스승
             으로부터 법을 받은 제자가 다시 당나라에 들어가 선법을 받아 온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나말여초의 선을 구산선문으로 규정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학자들마다 이견이 존재하게 된 것이다.
               나말여초 선문이 아홉 개라는 것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하지만 적어도

             의천이 천태종을 개창한 이후 기존의 선종은 구산선문으로 정리되었다는

             점에는 학자들의 견해가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예를 들어 허흥식은 10세
             기 말 모두 14개의 산문이 존재했으나 천태종 개창 당시 5개의 산문이 천
             태종으로 전향하여 9개의 산문이 남았다고 주장하며, 최연식은 11세기경

             구산문으로 통합하는 과정에서 여러 산문이 9개로 자연스럽게 줄어들었다

             고 주장하고 있다.
               구산선문의 이름과 개조에 대하여 분명하게 밝히고 있는 것은 『선문조
             사예참의문禪門祖師禮懺儀文』이다. 이는 선문의 조사들에 대한 예참 의례에

             사용하는 의식문으로써 여기에는 예참의 대상으로 석가모니 이래 혜능까

             지 33조사와 구산선문의 개산조 그리고 보조국사 지눌이 포함되어 있다.


             2)  개조’와 ‘개산조’란 말은 불교학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개념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지산문의 경
               ‘
               우 ‘도의’가 서당지장의 법을 받아 왔지만, 실제 가지산문을 개산한 것은 보조체징이다. 이에 대해 ‘개
               산조’와 ‘개창조’로 나누어 부르는 학자도 있는데, 필자는 도의는 가지산문의 ‘개조’라 하고, 체징은 ‘개
               산조’라 명명하여 이를 구분하고자 한다.


                                                                         161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