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정독 선문정로
P. 22
일러두기
1. 이 책은 성철스님의 대표적인 저술인 『선문정로禪門正路』(2015년 본)를 해설
한 것이다.
『
2. 선문정로』는 1981년 본 『선문정로』에서 출발하여 원융스님이 옮겨 쓴 부
분을 추가한 1987년 본 『선문정로』, 가로쓰기로 원고를 입력한 1993년 본
『선문정로 평석』, 성철스님의 강설을 녹취하고 인용문에 일련번호를 붙인
2006년 본 『옛 거울을 부수고 오너라』, 그리고 가장 최근의 2015년 본 『성
철스님 평석 선문정로』에 이르기까지 인쇄, 조판, 제목, 편제, 내용의 전 방
면에 걸쳐 보완을 거듭해 왔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보완을 통해 확정된
2015년 본을 주 텍스트로 삼되, 기타 판본을 참고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3. 인용문의 일련번호는 2015년 본 『선문정로』에서 그대로 가져왔지만 같은
번호 아래 여러 문장이 인용된 경우, 필요에 따라 【1-14-①】, 【1-14-②】와
같이 문장을 나누어 해설하였다.
4. 성철스님의 번역문은 ‘선문정로’, 저자의 번역문은 ‘현대어역’으로 표시하였
고, 『선문정로』의 정독精讀을 제안하는 집필 내용은 ‘[해설]’로 표시하였다.
5. 선문정로』에서는 인용문의 출처를 문장 속에 밝히고 있으나 이 책에서는
『
각주로 표시하였다. 본문 속의 출처 표기가 독서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성철스님의 손을 거친 인용문은 성철스님의 문장으로 읽어야 한다
고 보았기 때문이다.
6. 성철스님은 인용 목적에 따라 변환, 생략, 추가 등의 방법으로 인용문에 개
입했는데, 해당 부분의 원문을 대괄호([ ]) 속에 제시하여 비교의 자료로
삼았다.
7. 법수는 6조혜능, 2승, 3계, 4료간, 동산5위, 3현3요와 같이 숫자로 표기하
여 그것이 가리키는 내용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8. 색인은 이 책에 나오는 서명書名, 인명人名 및 용어用語를 가나다순으로 정
리한 것이다. 단, 서명과 인명은 목록으로만 싣고, 이 책을 정독하고자 하는
독자 제현의 이해를 돕고자 주요 용어를 뽑고 페이지도 선별해서 실었다.
9. 이 책에 인용된 대장경의 약호는 다음과 같다. K 고려대장경, T 대정신수대
장경, X 만신찬속장경卍新纂續藏經, D 국도선본國圖善本, LC 여징불학저작
집呂澂佛學著作集, B 대장경보편大藏經補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