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퇴옹학보 제17집
P. 87
초기불교의 중도사상과 퇴옹성철의 이해 • 87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비록 서술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중도를 도구격으로 하여 깨달음의 목표가 아니라 깨달음으로 가는 수
단과 방법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근본설일체유부율장(Mūlasarvāstivāda vinaya)은 중국 당나라 때 의
정에 의해서 한역되었으며 9세기에 티벳어로 번역되어 티벳불교의 율장
으로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아마도 범본 근본설일체유부율장은
4-6세기경 동인도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범본 근본설
일체유부율장은 부분적으로 남아있으며, 북서 인도의 길기트(Gilgit) 발
견된 범어 필사본 중에 Sanghabhedavastu란 이름으로 발견된 범본
에서 중도(madhyampratipad)가 다음과 같이 설명되고 있다.
이 두가지 극단을 멀리함으로 중도가 있다. 그것은 눈을 뜨게 하고
앎을 일으키고 평화로움으로 이끌고 바로 지혜로 완전한 깨달음으
로 열반으로 이끈다. (etāv ubhāv antāv anupagamya asti madhyamā
pratipac cakṣuṣkaraṇī jñānakaraṇī upaśamasaṃvartanī abhijñāyaiva
saṃbhodhaye nirvāṇāya saṃvartate.) 17)
가장 후대에 성립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근본설일체유부율장은 빨리
율장 대품(Mahāvagga)의 abhisambuddha와 마하와스투(Mahāvastu)
의 anusaṃbuddha 대신에 asti라는 존재동사를 통해 평서문으로 중
17) The Gilgit Manuscript of the Saṅghabhedavastu, Serie Orientale Roma, 49
(Sanghabhedavastu of the Vinayavastvagama of the Mulasarvastivadin. 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