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5 - 퇴옹학보 제18집
P. 215

퇴옹성철의 중도법문이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 • 215




               인은 양변이라고 진단했다. 그리고 그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파사현정

               의 정신으로 중도법문을 설파했다. 이런 맥락에서 중도사상을 분석해
               보면 단지 교학강좌를 위해 중도사상을 설파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시대적 요청에 부응한 교단적 응답이었으며, 중생이 직면해 있

               는 고를 해소하고자 하는 근원적 처방이었음을 알 수 있다.
                 본고는 중도사상이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으로 크게 네 가지 문제로

               압축해 보았다. 첫째는 불교사상의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주목받지 못

               했던 중도사상을 재발견하고, 그 중요성을 부각시킨 것이다. 퇴옹에 의
               해 한국불교에서 중도사상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관련 주제에 대한

               연구의 양과 질이 풍부해졌다.
                 둘째는 중도교판의 정립으로 불교사상을 체계화하고 한국불교의 독

               자성을 확립한 것이다. 한국불교는 소위 통불교라는 인식 속에 서로 다

               른 교설이 체계 없이 뒤섞여 있었다. 퇴옹은 중도사상을 근간으로 삼아
               불교사상을 일목요전하게 정립했다. 중도를 중심으로 한 퇴옹의 이와

               같은 교학체계를 필자는 ‘중도교판’            100) 이라고 이름 붙인 바 있다. 퇴옹
               은 중도교판을 통해 남방불교와 북방불교, 초기불교와 대승불교가 결

               국은 한 맛임을 도출해 냈다. 나아가 문헌학적 연구방법론에 입각한 대

               승비불설의 비판에 대해서는 비록 대승경전이라도 중도사상에 입각해
               있다면 정법이라고 결론을 내림으로써 사상적 혼란을 정리했다. 이는

               중국에서 발원한 교판과 일본에서 발원한 비판불교를 모두 지양함으로






               100) 서재영(2015), 60.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