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고경 - 2015년 4월호 Vol. 24
P. 43

장 『상응부경』의 내용을 인용한다.


                     “중생은 아뢰야를 즐거워하고 아뢰야를 기뻐하고 아뢰

                     야를 좋아한다. 그러나 아뢰야를 즐거워하고 아뢰야를
                     기뻐하고 아뢰야를 좋아하는 중생으로서는 이 연의성
                     (緣依性), 연기의 도리는 보기 어려우며, 또 일체 제행의
                     고요히 그침, 일체 의거의 버림, 갈애의 모든 소멸, 떠남

                     [離] ·소멸[滅] ·열반의 도리도 참으로 보기 어렵다.”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은 이후 연기의 진리를 순관과 역
                 관으로 살펴보셨다. 고해에서 신음하는 중생들에게 자신이

                 깨달은 진리를 전해주기 위해서였다. 그때 부처님께서 깨달
                 은 것은 중생들이 아뢰야를 좋아하고 그것에 집착하여 연기
                 의 진리를 알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는 아뢰야식이 중생의
                 근본무명이라는 개념이 초기경전에 이미 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사라지지 않는 번뇌의 종자
                   아뢰야는 산스크리트어 ‘ālaya’의 음역으로 ‘없어지지 않

                 는다’는 뜻이다. 아뢰야는 다음과 같이 한역되는데 모두 아
                 뢰야의 특징을 나타낸다. 첫째 무몰식 (無沒識)이다. 사람의
                 육신과 의식은 죽으면 사라지고 말지만 아뢰야식은 육신이
                 죽어도 사라지지 않고 윤회의 주체가 되어 유전하기 때문이

                 다. 둘째 장식 (藏識)이다. 장(藏)이란 ‘저장하다’라는 의미를


                                                                   41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