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 고경 - 2015년 4월호 Vol. 24
P. 48

놓았다. 대중은 일언반구 말을 못했고 고양이는 두 토막
                   이 났다.



                   동당(東堂)과 서당(西堂)은 주지에서 물러난 원로 스님들
                 이 거처하는 공간이다. 수행과 전법에 일가견을 이룬 어른들
                 이 사는 곳이니, 드나드는 발길도 따르는 무리도 많았을 법
                 하다. 한편으론 고인 물은 썩기 쉽고, ‘사람’에게 ‘사람들’이 몰

                 리면 도당으로 변질되기 십상이다.
                   또한 한낱 고양이 한 마리를 갖자고 서로 으르렁대지는 않
                 았을 듯싶다. 절 안의 패권싸움 또는 누가 더 잘났느냐는 법
                 통 논쟁이었을 게 뻔하다. 전체 대중을 지도하는 방장(方丈)

                 의 입장에선 문도들의 갈등이 안타깝고 고까웠을 것이다. 그
                 래서 일도양단의 각오로 칼을 뽑아들었다. “바로 이르라.”는
                 건 동당이든 서당이든 자신들이 왜 고양이를 가져야 하는지
                 설득해보라는 주문일 터.

                   하지만 불같이 화를 내는 ‘대장’ 앞에서 양쪽 모두 말문이
                 막혔다. 더구나 셈에 밝은 자들은 샘이나 낼 뿐이다. “고양이
                 대신 내가 죽겠다.”며 결연하게 나서는 이도, “공연히 노망 피
                 우지 말라.”며 호기롭게 대드는 이도 없다. 하다못해 “잘못했

                 다.”고 꼬리를 내리면 고양이는 무사할 수 있었다. “불쌍한 짐
                 승을 살려 달라.”는 한마디조차 인색하다. 말은 많은데 정작
                 필요한 말은 못하는 ‘찌질이’들이다.
                   고양이를 일종의 화두로 본다면 다음과 같은 해석도 가능

                 하다. 깨달음은 누가 가질 수 있는 물건이 아니라는 것. 외려


                 46                                          고경  2015.04.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