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 고경 - 2015년 4월호 Vol. 24
P. 44
갖고 있다. 인간이 하는 모든 사유 활동과 언어 그리고 행위
등은 고스란히 아뢰야에 저장되어 다음 생으로 전해짐을 나
타낸다. 셋째 종자식 (種子識)이다. 씨앗은 식물의 정보를 저
장하고 있다가 봄이 오면 싹을 틔운다. 종자식도 인간이 행
한 모든 내용을 저장하고 있다가 인연을 만나면 싹을 틔우
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다.
그렇다면 그 종자는 어떤 토양에서 싹을 틔우게 될까?
『증지부경』에는 “아난아, 업 (業)은 밭이고 식 (識)은 종자요,
애 (愛)는 윤택함[潤]이다.”라고 설했다. 아뢰야가 씨앗에 비유
된다면 그 종자식이 싹을 틔우는 밭은 업 (業)이라는 것이다.
행위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아뢰야에 아무리 많은 정보가 담
겨 있어도 씨앗 상태로 남아 있을 뿐이다. 그 씨앗을 싹트게
하고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은 인간의 사유와 언어 그리고 몸
으로 짓는 행위들이다.
42 고경 201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