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 - 고경 - 2015년 6월호 Vol. 26
P. 8
습니다. 이 대목이 한문 어록 번역의 어려움이니 “자기가 아
닌 남이 한 번역은 틀렸다.”고 대답이 돌아옵니다.
몇 년 전 중국 종교문화출판사에서 『영명연수 선사 전서
상·중·하』를 출판하였는데, 그동안 번역하는 데 어려움이
컸던 ‘인용문과 인용문 속의 인용문장에 대한 인용부호와
표점’이 잘 정리되어 있었습니다. 참 다행이다 싶어 대진 스
님과 선암 스님에게 그동안 준비한 『명추회요』 원고와 이 책
을 드리면서 마지막 윤문을 부탁하여 지금 이렇게 출판 소
감을 쓰게 되었습니다.
앞에 인용한 『인천보감』에 실린 적음(寂音) 선사를 찾아보
니 혜홍각범 선사로서 그의 저서인 『석문문자선 (石門文字禪)』
에 실린 <제종경록(題宗鏡錄)>의 인용이어서 그 전문을 실어
봅니다.
종경록 100권은 지각(智覺) 선사가 찬술한 것이다.
일찍이 이 책을 깊이 읽어보니, 방등부 경전을 넘나들
며 망라한 것이 60종이었고, 중국과 다른 나라의 성현의
논(論)을 참작하여 꿰뚫은 것이 300가지였다. 천태종과
현수(賢首) 대사의 화엄종을 이해하고 유식종을 깊이 논
하였으며, 세 종파의 다른 이치를 대략 분석하여 하나의
근원으로 귀결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서 의심을 종횡으로 일으킨 것은 심원한
이치를 탐색하고자 함이었고, 깊이 감추어진 도리를 쪼개
어 밝힌 것은 치우치고 삿된 견해를 쓸어 내기 위한 것이
6 고경 20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