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3 - 고경 - 2018년 10월호 Vol. 66
P. 103

이 이를 증명한다. 설일체유부도 분석적인 방식으로 법상을 연구했다. 법
            상을 하나하나 분별해 연구하는 것을 ‘법상분별法相分別’이라 하며, 이 과정
            에서 실체實體를 가진 자성이라는 개념이 형성되고 실유론實有論이 모습을

            드러낸다.   14)

              문제는 ‘설일체유부가 분석한 법상(범주範疇라고 불러도 좋다)이 무엇’이며,
            ‘무엇에 근거해 이들 법상을 도출 했는가’이다. 이 문제는 결국 붓다의 원
            음을 전하는 가장 원초적인 경전이 무엇인가로 연결된다. 그 성전聖典에서

            부파불교가 분석한 법상을 찾아내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 가장 일찍 결

                                    15)
            집된 성전은 『잡아함경』이며,  네 종류의 아함경 가운데 『잡아함경』이 근
            본이다.  이는 『유가사지론(섭사분攝事分)』 권제85에서 증명된다.
                  16)


                “「법상에 들어맞고 합당한 경전」은 네 가지 『아함경』을 가리킨

                다. 첫 번째는 『잡아함경』, 두 번째는 『중아함경』, 세 번째는 『장
                아함경』, 네 번째는 『증일아함경』이다. 이 가운데 『잡아함경』은
                붓다가 중생들의 교화할 때 널리 설법한 것으로, ‘붓다가 말한

                것’과 ‘제자들이 말한 것’을 종류별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온·

                계·처에 따라 분류한 것, 연기·식·제에 따라 분류한 것, 사
                염주·사정단·사신족·오근·오력·칠각지·팔정도·들숨
                과 날숨·학처·깨끗함을 증득함 등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팔








            14)  羅因著, 『空、有與有、無』, 臺北:國立臺灣大學出版委員會, 2003, p.58.
            15)  呂澄著, 『呂澄佛學論著選集』 卷1 「雜阿含經刊定記」, 濟南:濟魯書社, 1991, p.17; 印順著, 『印順法師

              佛學著作全集』 第20卷 『雜阿含經會編(上)』 , 北京:中華書局, 2009, 自序.

            16)  印順著, 『印順法師佛學著作全集』 第20卷 『雜阿含經會編(上)』 , 北京:中華書局, 2009, p.6.

                                                                        101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