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5 - 고경 - 2018년 11월호 Vol. 67
P. 145

62)
              ④  “所以童壽歎言”下 ,  此語出《名僧傳·慧觀傳》中也.  明什法師作此
            語, 非無所以也. “彰在翰牘”者, 肇法師文理彰顯, 在翰牘也. 古人以雞翰毛,
            書簡牘之上, 今名紙爲牘也.         63)

              “그래서 구마라집이 찬탄하며 말했다.”는 구절 이하에 대해, (“공사상을

                                                               64)
            제일 잘 이해한 사람은 승조 그이다.”는) 이 말은 『고승전·혜관전』 에 나온다.
            구마라집이 이 말을 했다고 밝혀놓았는데, 연유가 없는 것이 아니다. “편
            지글에 드러나 있다.”는 승조가 쓴 글의 유려함과 이치에 맞음이 편지글에

            드러나 있다는 것이다. 옛 사람들은 닭의 깃털로 만든 붓으로 죽간·목간

            위에 글을 썼다. 지금 종이를 목간이라 했다. [단락 ④는 “그래서 구마라집이 ‘공
            사상을 제일 잘 이해한 사람은 승조 바로 그다’라고 찬탄했다. 이 말을 한 데는 연유가 있
            으며, 편지글에 드러나 있다.”로 옮길 수 있다.]

              ⑤ “但宗本蕭然”下, 第四簡別是論非論也. 宗本蕭然, 不可致難, 故但稱

            義. 《不遷》等四, 欲接引學人, 假致問答, 故稱爲論. 有本云: “開通.” 有本
            云; “關涉.” 《小雅》云: “開, 達也.” “問答析徵, 所以稱論”者, 論本折理. 四科折
            理, 故名爲論耳.    65)

              “다만 본무本無의 뜻은 텅 비어 있다.”는 구절 이하는 네 번째인 논과 논

            아님을 구별하는 것이다. ‘지극한 근본[宗本. 本無]’은 텅 비어 있어 질문하고







            62)  이에 대해 『조론집해령모초』에는 “공을 제일 잘 이해한다는 구마라집의 찬탄은 공사상을 제대로 파
              악한 것에 대한 찬탄이지, 승조가 글을 잘 쓴 것에 대한 칭찬은 아니다[‘解空第一’者, 什公此句歎悟
              空理, 非歎好辭].”라고 해석해 놓았다.

            63)  T45-pp164c~165a.

            64)  『고승전·혜관전』에는 “중생의 심성을 정확히 이해하기로는 축도생·도융이 첫 손가락 꼽히고, 교
              리에 정통하고 질문에 막힘없이 대답하기로는 혜관·승조가 제일이다[通情則生,融上首, 精難則觀,
              肇第一].”라고 나온다. [南朝梁]慧皎著·湯用彤校注, 『高僧傳』, 北京:中華書局, 1992, p.264.
            65)  T45-p165a.


                                                                        143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