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2 - 고경 - 2019년 4월호 Vol. 72
P. 122

승조와  『조론』  11



                         「반야무지론」 번역과 해설



                                                       활인검活仁黔 | 자유기고가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 제삼第三



                                   2)
                           1)
             [1] ① 「般若無知 論」 第三 . [1] ① 「반야무지론」 제삼.
                             3)
                                               4)
             [2] ① 夫般若虛玄 者, 蓋是三乘之宗極 也, 誠真一之無差, 然異端之論
           紛然久矣.
             [2] ① 대저 모양이 없고 알기 어려운 반야는 성문·연각·보살이 숭
           상하는 ‘최고의 목표’이며, 진실로 유일한 진리이기에 (반야에 대해서는) 다

           른 견해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반야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기되어
           논의가 분분한 지 오래 되었다.








           1)  「반야무지론」은 『대품반야경』(403)과 『대지도론』(405)이 한역된 후인 405년에 지은 글이다. 반야는 불교

             에서 말하는 지혜를 뜻한다. 범부의 지혜가 아닌 성공性空이 이치를 깨친 불·보살의 지혜를 가리킨
             다. 범어 prajñā의 음역音譯이다. 승조는 이 글에서 반야를 성지聖智·성심聖心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
             다. ‘무지無知’는 지혜가 없다는 의미가 아니고 ‘그릇된 지혜가 없다[무망지無妄知]’ 혹은 ‘미혹해서 취하
             고 집착하는 지혜가 없다[무혹취지지無惑取之知]’는 뜻이다. 후일에는 ‘무분별지無分別智’로 한역됐다. 따라
             서 반야와 무지는 같은 뜻을 가진 다른 단어일 뿐이다. 반야般若는 무지無知이고, 무지는 반야인 것이
             다. 당나라 원강의 『조론소』에 따르면 「반야무지론」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됐다. ①반야에 대한 승
             조의 설명, ②유유민의 질문, ③승조의 답변 등이 그것이다. 이번 호에는 ①부분만 수록했다.
           2)  『조론』의 세 번째 글이라는 의미다.

           3)  ‘허현虛玄’에서 모습이 없는 것이 허虛이고, 그윽하고 은밀해 알기 어려운 것이 현玄이다.

           4)  종극宗極은 숭상하는 최고 진리라는 의미다.


           120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