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4 - 고경 - 2019년 4월호 Vol. 72
P. 124
람을 불어오게 했다. ② 진리의 불을 다른 지방에 옮기고자 노력하다 양
주에서 빛을 숨기고 있었는데, 이는 진리를 전파할 때는 당연히 시절인연
에 부응해야 하고, 시절인연의 도래에는 반드시 연유가 있어야하기 때문
이다. ③ 홍시 3년(401) 신축년辛丑年 음력 12월 후진이 구마라집의 입국을
준비하고 군사를 일으켜 그를 장안에 모셔왔는데, (이는) 하늘의 뜻이자,
운명이 그러했다.
23)
24)
20)
22)
21)
[4] ① 大秦天王 者, 道契 百王之端 , 德洽 千載之下, 游刃 萬
27)
25)
26)
機 , 弘道終日, 信 季俗 蒼生之所天, 釋迦遺法之所仗也. ② 時乃集義
28)
30)
29)
學沙門五百餘人於逍遙觀 , 躬執秦文, 與什公參定 方等 . 其所開拓者,
31)
32)
豈謂當時之益, 乃累劫之津梁矣. ③ 余以短乏 , 曾廁 嘉會, 以為上聞異
20) 대진大秦은 후진後秦을, 천왕天王은 후진의 제2대 군주 요흥姚興을 각각 가리킨다. 천왕은 본래 춘추전
국시대 주나라 왕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당시 초나라 오나라 등이 스스로 왕이라 칭하자 주나라 왕
에게 ‘천天’자를 덧붙여 이들과 구별했다. 그러다 십육국시대 후조의 석륵, 전진의 부견, 후진의 요
흥, 하나라의 혁련발발 등도 천왕이라 칭했다. 청나라 말기 홍수전이 태평천국의 난을 일으키고 스
스로를 천왕이라 부르기도 했다.
21) 계契는 ‘부합하다’는 의미다.
22) 단端은 명사로 ① 끝, 처음 생겨난 물건의 꼭대기; ② 시초, 시작, 실마리 등의 의미가 있다. 여기서
는 시초, 시작이라는 의미로 사용됐다.
23) 흡洽은 적시다, 윤택하게 하다는 의미다.
24) 유인游刃은 능숙하게 처리하다는 뜻이다.
25) 기機는 명사로 계기, 실마리, 기밀, 비밀이라는 의미다. 만기萬機는 군사상 정치상의 모든 일을 의미
한다.
26) 신信은 ‘진실로’라는 의미.
27) 계속季俗은 말세라는 뜻이다.
28) 본래 요흥의 별궁이었다. 구마라집이 장안에 들어온 후 여기에 역장譯場이 차려지자, 교리를 토론하
는 장소로도 사용됐다. 구마라집은 401년부터 405년까지 소요원에, 406년부터 413년까지 초당사草
堂寺(대석사大石寺, 대사大寺)에 머물렀다.
29) 참정參定은 토의하다, 상의하다는 뜻이다.
30) 방등方等은 대승(경전)을 가리킨다.
31) 단핍短乏은 ‘재주가 짧고 덕이 부족하다’는 의미.
32) 측廁은 참가하다는 뜻.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