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3 - 고경 - 2019년 4월호 Vol. 72
P. 123

5)
                                                  6)
                                                         7)
              [3] ① 有天竺沙門 鳩摩羅什者, 少踐大方 , 研幾 斯趣, 獨拔於言象                     8)
                                              11)
                           9)
                                   10)
                                                       12)
                                                                       13)
            之表, 妙契於希夷 之境, 齊 異學於迦夷 , 揚淳風 於東扇. ② 將爰 燭
                         14)
                                                                 15)
            殊方而匿耀涼土 者, 所以道不虛應, 應必有由矣. ③ 弘始三年 , 歲次星
              16)
                                                          19)
                                            18)
                                 17)
            紀 , 秦乘入國之謀, 舉師 以來之, 意 也, 北天之運數 其然也.
              [3] ① 천축 출신 사문 구마라집은 어려서 대승의 여러 경전들을 연구
            했고, 반야학의 가르침을 깊고 세밀하게 파헤쳤다. 언어문자의 표면적 의
            미를 홀로 넘어서고, 보고 듣는 수준을 뛰어넘는 현묘한 경지에 이르렀
            다. 천축의 그릇된 학설들을 평정했고, 중국에까지 진실한 반야지혜의 바



            5)  범어 Śramaņa의 음역이다.

            6)  천踐은 연찬하다는 의미. 대방大方은 『노자』 제41장에 나오는 ‘대방무우大方無隅[큰 사각형은 모퉁이가 없다].’

             라는 구절에서 빌린 것이다. 여기서는 대승이라는 의미로 사용됐다.
            7)  기幾는 명사로 ‘미세함’이라는 뜻이다.


            8)  언상言象은 언어문자를 의미한다. 이 말은 본래 위나라 왕필(226~249)이 지은 『주역약례』 「명상明象」조에
             나오는 말이다. “夫象者, 出意者也; 言者, 明象者也[(주역의)상은 의意를 표현하고, 언言은 상을 밝히는 것이다].”

            9)  『노자』 제14장에 “視之不見名曰夷; 聽之不聞名曰希[보아도 보이지 않는 것을 이夷라 하고, 들어도 들리지 않는 것
             을 희希라 한다].”라고 했다. 따라서 ‘희이希夷’는 심오한 경계를 표현하는 말이라 할 수 있다.

            10)  제齊는 평정하다는 의미다.
            11)  ‘가이迦夷’는 범어 kapilavastu를 음역한 것이다. 붓다가 태어난 나라로 지금의 네팔에 속해있다. 여

              기서는 고대인도, 즉 천축을 대표하는 단어로 사용됐다.

            12)  순풍淳風은 순수한 바람, 즉 ‘반야(지혜)의 바람’을 가리킨다.
            13)  원爰은 동사로 ‘옮기다’는 의미다. 『소아小雅』에 “爰, 易也[원은 ‘바꾸다·옮기다’이다].”라고 했다.


            14)  구마라집이 양주에 있어야만 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고경』 제62호(2018년 6월호)에 실린 「『조론』은 어떤
              책인가?」를 참조하라.

            15)   401년을 가리킨다.

            16)  지구에서 본 태양의 움직임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12개 지역으로 등분한 것을 성차星次라 한다. 구체
              적으로 성기星紀, 현효玄枵, 추자娵眥, 강루降婁, 대량大梁, 실침實沈, 순수鶉首, 순화鶉火, 순미鶉尾, 수성壽
              星, 대화大火, 석목析木이다. 이 가운데 성기星紀는 십이지의 축丑에 해당되고, 음력 12월을 가리킨다.
              성기星紀는 본래를 달[月]을 가리키는 이름이나 승조가 여기서 해[年]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했다. 다시
              말해 401년은 태세太歲가 신축년辛丑年인데, 마침 성기星紀가 축월丑月이기에 달 이름으로 해[年]를 가
              리키는데 사용한 것이다. 401년 음력 12월 구마라집이 장안에 도착했다는 것이다.
            17)  사師는 ‘병사들의 무리’라는 의미다.

            18)  의意는 ‘천의天意[하늘의 뜻]’라는 말이다.

            19)  수數는 명사로 ‘팔자·운명’이라는 의미다.

                                                                        121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