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8 - 고경 - 2019년 4월호 Vol. 72
P. 138
[13] ① 대답 한다: 경전에 “반야라는 말의 의미는 이름도 없고 말로
설명할 수도 없고, 있음도 아니고 없음도 아니고, 실제로 있는 것도 아니
고 아무 것도 없는 것도 아니고, 텅 비었지만 능히 인식하고, 인식하지만
텅 빔을 잃지 않는다.”라고 했다. 이것은 반야가 이름 없는 존재이기에
언어문자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② 비록 언어문자로
반야를 설명할 수는 없지만 그러나 언어문자가 아니면 전달할 수 없다.
그래서 붓다는 하루 종일 언어를 빌려 말씀하지만 사실은 한마디도 하
지 않았다. 지금 시험 삼아 그대를 위해 이런 저런 말로 반야를 설명해보
고자 한다. ③ 대저 반야라는 것은 미묘하고 알기 어려우며 특정한 모습
이 없어 있다고 할 수 없다; (인식)작용은 무궁하기에 없다고 할 수 없다.
없다고 할 수 없기에 반야지혜는 존재 한다; 있다고 할 수 없기에 언어문
자로 직접 설명할 수 없다. ④ 그래서 ‘지知’라고 말한다고 진짜로 ‘지知’가
있는 것이 아니고 다만 ‘지知’를 통해 그 인식작용은 이해할 뿐이다; ‘부지
不知’라고 말한다고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는 ‘무지無知’가 아니고 ‘무無’자
를 통해 ‘미혹되게 작용하는 지혜가 없는 모습[무혹지지상無惑知之相]’을 나
타낼 따름이다. ‘무혹지지상無惑知之相’이기에 (반야는) 완전히 없는 것도 아
니며, 직관의 인식 작용을 하므로 참으로 있는 것도 아니다. 참으로 있는
것이 아니기에 반야에는 ‘참다운 지혜[지知]’는 있지만 ‘혹지惑知’는 없고,
참으로 없는 것이 아니기에 반야에는 ‘혹지惑知’는 없고 ‘참다운 지혜’는 있
다. 그래서 참다운 반야지혜는 혹지가 없는 것이며, 혹지가 없는 것이 참
다운 반야지혜이다. ‘지知’와 ‘무지無知’라며 [부르는] 말이 다르다고 반야지
혜에 ‘차이[다름]’가 있다고 할 수 없다.
[14] [질문 3] ① 難曰: 夫真諦深玄, 非智不測. 聖智之能, 在茲而顯. 故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