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3 - 고경 - 2019년 4월호 Vol. 72
P. 143

없는 것은 사유하고 구분함이 없는 것[일정한 견해가 없는 것]이며, 사유하

            고 구분함이 없기에 마음이 외부의 대상과 상응함이 없게 된다. [외부의 대
            상과 상응함이 없는데]외부의 무엇이 성인의 마음[반야지혜]과 서로 상응하며,

            (게다가) 성인의 마음에는 모름이 없다고 말하는 것인가?
              [19] [답변 5] ① 答曰: 然, 無是無當者. 夫無當則物無不當, 無是則物

                                      110)
            無不是. 物無不是, 故是而無是 ; 物無不當, 故當而無當. 故經云: “盡見
            諸法, 而無所見.”    111)

              [19] [답변 5] ① 대답 한다: 그렇다. 이것저것을 구분해 특정한 견해만
            지지하지 않고, 마음이 외부의 특정한 대상과만 상응함이 없는 것이 반야

            지혜다. 대저 하나의 사물을 대상으로 삼지 않기에 모든 사물을 마음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특정한 견해가 없기에 모든 사물의 본성을 정확

            하게 파악할 수 있다. 모든 사물의 본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에, 견해이
            면서도 견해가 없는 것이다[앎이면서도 미혹되게 집착하는 지혜가 없는 것이다].

            모든 사물을 마음의 대상으로 삼기에, 대상이면서도 대상이 없다[외경은
            모두 텅 비어 모양이 없기에 실제로는 대상이 없는 셈이다]. 그래서 경전은 “모든

            존재를 빠짐없이 보지만, 특정한 견해가 없다[모든 존재의 본성을 철저하게 체
            득하기에 특정한 견해만 고집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20] [질문 6] ① 難曰: 聖心非不能是, 誠以無是可是. 雖無是可是, 故
            當是於無是矣. 是以經云“真諦無相, 故般若無知”者, 誠以般若無有有相之

            知. 若以無相為無相, 有何累於真諦耶?







            110)  여기서 시是는 지知로 바꿔 보아도 된다.
            111)  『방광반야경』 권제2 「마하반야바라밀행품 제9」에 비슷한 구절이 있다. “菩薩作是行般若波羅蜜, 於

               諸法無所見.” T8-p12c. 승조는 아마도 의미를 인용한 것 같다.

                                                                        141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