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고경 - 2019년 4월호 Vol. 72
P. 79

빗나간 구석이 있다. 나귀와 말을 인간보다 못한 짐승 또는 짐승처럼 우

            매한 인간으로 빗대던 선가禪家의 여러 관용어들이 근거다. 임제臨濟 선사
            는 제자인 삼성三聖을 ‘눈먼 나귀’라 비난했고, ‘나귀의 일이 아직 끝나지

            않았는데 말의 일이 와 버렸다’는 ‘여사미료驢事未了 마사도래馬事到來’는 좀
            체 견성하지 못하는 자들에 대한 핀잔이다. ‘나귀와 말의 전후를 쫓는 사

            람’이라는 여전마후한驪前馬後漢도 ‘멍청이’에 해당하며 2차적으로 주인에
            딸린 종을 가리킨다. 또한 죽어서 내생에 축생畜生이 된 자는 여태마복驢

            胎馬腹이라 불렀다. 내가 글감으로 조주를 택한 건 결정적으로 조주석교
            때문이다. 마음에 탱크가 지나가도 상처받지 않을 수 있다면.



































             곰글    1975년생. 연세대 철학과 졸업. 2002년부터 불교계에서 일하고 있다. 9권의 불서佛書를
             냈다.



                                                                        77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