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4 - 고경 - 2019년 8월호 Vol. 76
P. 144

G
                 유루ㆍ무루관觀UG 외경外境O혹은G 소연所緣P과G 상응하는G 무엇이라도G 번뇌를G 증
                 장增長G 시키는G 존재가G 번뇌O유류법SGཟག་བཅས།P의G 정의이다UG 예를G 들면G 오온五蘊G
                 같은G 것이다UG 외경과G 상응하는G 무엇이라도G 번뇌를G 증장G 시키지G 못하는G 존재
                 가G 무루법Oཟག་མེད།P의G 정의이다UG 예를G 들면G O사성제의PG 도제道諦Oལམ་བདེན།P나G 무
                 위법G 같은G 것들이다UG 『아비달마구사론』에G “도제에G 포함되지G 않는G 유위법
                                                                  XY
                 들을G 유루법”이며G “무루법인G 도제G 그리고G 세G 가지G 무위법 ”이라고G 말했기G
                 때문이다UG 유루법은G 당연히G 모두G 버려야G 되지만G 자량도Oཚོགས་ལམ།P와G 가행도Oསོར་
                                        XZ
                 ལམ།PG 둘G 모두G 버려야G 된다U
                                         G 견도見道Oམཐོང་ལམ།P에는G 무루도O無漏道P만G 있고SG
                 수도修道Oསོམ་ལམ།P와G 무학도無學道Oམི་སོབ་ལམ།P에는G 유루도有漏道와G 무루도無漏道G
                 둘이G 다G 있다UG 왜냐하면G 성도聖道O견도G 이상P에는G 번뇌가G 없지만G 성자聖者
                 의G 마음의G 도道에는G 모두G 무루인G 것만G 있는G 것은G 아니다UG 수도修道의G 길에G
                               X[
                 있는G 성자의G 마음 에G 있는G 적멸寂滅은G O아직은PG 거칠기에G 유루도이기G 때문
                 이다UG G
                 G
                 O위의G 둘G 이외PG 다른G 것UG 과거SG 현재SG 미래가G 실제로G 존재한다고G 주장한다UG 항아
                 리는G 항아리의G 과거G 때부터G 존재하며SG 항아리는G 항아리의G 미래에도G 존재한
                 다고G 주장하기G 때문이다UG 부정O파破SG 차遮SG དགགP과G 긍정O입立SG 성成SG སྒྲུབ།PG 둘G
                 다G 인정하며SG 전체부정Oམེད་དགགP은G 인정하지G 않는다UG 부정이라면G 모두G 부분부
                          X\
                         14)
                 정Oམ་ཡིན་དགགP 이라고G 설명한다UG 캐시미르G 유부는G 경량부經量部와G 마찬가지로G
           부분부정(         ) 이라고 설명한다. 캐시미르 유부는 경량부經量部와 마찬

                업業과G 과果의G 관계에G 의거해G 의식意識Oརྣམ་ཤེས།P이G 끊임없이G 이어진다는G 것을G
           가지로 업業과 과果의 관계에 의거해 의식意識(                  )이 끊임없이 이어진다
                 XY
                  G 세G 가지G 무위법은G 무방분극미SG 심식무찰나분SG 허공을G 가리킨다UG G
                 업業과G 과果의G 관계에G 의거해G 의식意識Oརྣམ་ཤེས།P이G 끊임없이G 이어진다는G 것을G
               업業과G 과果의G 관계에G 의거해G 의식意識Oརྣམ་ཤེས།P이G 끊임없이G 이어진다는G 것을G
                 XZ 인정한다UG 캐시미르G 유부G 이외G 다른G 유부는G 업과G 과의G 관계에G 의거해G ‘톱바
              업業과G 과果의G 관계에G 의거해G 의식意識Oརྣམ་ཤེས།P이G 끊임없이G 이어진다는G 것을G
                  G 수행G \도G 가운데G 자량도와G 가행도에서는G 번뇌를G 없앨G 수G 없다UG 그래서G 비파사는G 자량
           는 것을 인정한다. 캐시미르 유부 이외 다른 유부는 업과 과의 관계에 의거
                 인정한다UG 캐시미르G 유부G 이외G 다른G 유부는G 업과G 과의G 관계에G 의거해G ‘톱바
               인정한다UG 캐시미르G 유부G 이외G 다른G 유부는G 업과G 과의G 관계에G 의거해G ‘톱바
                 도와G 가행도를G 버려야G 된다고G 주장한다UG 기록한G 문서Oདཔང་རྒྱ།P처럼G ‘사라지지G 않는G
                O득得SG ཐོབ་བ།P’라는G 것을G 얻는데SG 빚을G
              인정한다UG 캐시미르G 유부G 이외G 다른G 유부는G 업과G 과의G 관계에G 의거해G ‘톱바
                 X[ 과果의G 관계에G 의거해G 의식意識Oརྣམ་ཤེས།P이G 끊임없이G 이어진다는G 것을G
            업業과G
              업業과G 과果의G 관계에G 의거해G 의식意識Oརྣམ་ཤེས།P이G 끊임없이G 이어진다는G 것을G
                  G 사선四禪과G 사무색정四無色定을G 닦는G 성자에G 해당된다UG G 이어진다는G 것을G
           업業과G 과果의G 관계에G 의거해G 의식意識Oརྣམ་ཤེས།P이G 끊임없이G       )처럼 ‘사라지지
                                        X]SG 빚을G 기록한G 문서Oདཔང་རྒྱ།P처럼G ‘사라지지G 않는G
                 O득得SG ཐོབ་བ།P’라는G 것을G 얻는데 빚을G 기록한G 문서Oདཔང་རྒྱ།P처럼G ‘사라지지G 않는G
               O득得SG ཐོབ་བ།P’라는G 것을G 얻는데SG
             업業과G 과果의G 관계에G 의거해G 의식意識Oརྣམ་ཤེས།P이G 끊임없이G 이어진다는G 것을G
           해 ‘톱바(득得,      )’라는 것을 얻는데, 빚을 기록한 문서(
                 X\ 존재O불실법不失法SG ཆུད་མི་ཟ་བ།P’ 로G 부르며SG 심불상응행법으로G 간주한다UG 중관G
              O득得SG ཐོབ་བ།P’라는G 것을G 얻는데SG 빚을G 기록한G 문서Oདཔང་རྒྱ།P처럼G ‘사라지지G 않는G
                                      X] 다른G 유부는G 업과G 과의G 관계에G 의거해G ‘톱바
            인정한다UG 캐시미르G 유부G 이외G
                                        X] 다른G 유부는G 업과G 과의G 관계에G 의거해G ‘톱바
              인정한다UG 캐시미르G 유부G 이외G
                  G 전체부정과G 부분부정은G 완전히G 다른G 개념이다UG 예를G 들어G “수행자는G 술을G 마실G 수G 없
            업業과G 과果의G 관계에G 의거해G 의식意識Oརྣམ་ཤེས།P이G 끊임없이G 이어진다는G 것을G
           인정한다UG 캐시미르G 유부G 이외G 다른G 유부는G 업과G 과의G 관계에G 의거해G ‘톱바
                 존재O불실법不失法SG ཆུད་མི་ཟ་བ།P’ 로G 부르며SG 심불상응행법으로G 간주한다UG 중관G
             인정한다UG 캐시미르G 유부G 이외G 다른G 유부는G 업과G 과의G 관계에G 의거해G ‘톱바
               존재O불실법不失法SG ཆུད་མི་ཟ་བ།P’ 로G 부르며SG 심불상응행법으로G 간주한다UG 중관G
                귀류논증파와G 비파사는G 신업身業과G 구업口業은G 색色의G 성분을G 함유하고G 있
                                      X]
                 다U”라는G 말은G 술에G 대한G 부정SG 즉G “술을G 마실G 수G 없다U”는G 의미G 이외G 다른G 무엇을G 내포
                                     15)
           않는 존재(불실법不失法,  ཆུད་མི་ཟ་བ།P’ 로G 부르며SG 심불상응행법으로G 간주한다UG 중관G
              존재O불실법不失法SG 얻는데SG 빚을G 기록한G 문서Oདཔང་རྒྱ།P처럼G ‘사라지지G 않는G
                                    )’ 로 부르며, 심불상응행법으로 간주한다. 않는G
            O득得SG ཐོབ་བ།P’라는G 것을G
              O득得SG ཐོབ་བ།P’라는G 것을G 얻는데SG 빚을G 기록한G 문서Oདཔང་རྒྱ།P처럼G ‘사라지지G
            인정한다UG 캐시미르G 유부G 이외G 다른G 유부는G 업과G 과의G 관계에G 의거해G ‘톱바
           O득得SG ཐོབ་བ།P’라는G 것을G 얻는데SG 빚을G 기록한G 문서Oདཔང་རྒྱ།P처럼G ‘사라지지G 않는G
             O득得SG ཐོབ་བ།P’라는G 것을G 얻는데SG 빚을G 기록한G 문서Oདཔང་རྒྱ།P처럼G ‘사라지지G 않는G
                 귀류논증파와G 비파사는G 신업身業과G 구업口業은G 색色의G 성분을G 함유하고G 있
               귀류논증파와G 비파사는G 신업身業과G 구업口業은G 색色의G 성분을G 함유하고G 있
                 하고G 있지G 않다UG 즉G “낮이든G 밤이든G 술을G 마셔서는G 안G 된다U”는G 의미만G 들어있다UG 이런G
                다고G 주장한다UG O한편G 비파사는PG 유위법은G 무상無常이나G 찰나마다G 소멸되는G
                                    X]
              귀류논증파와G 비파사는G 신업身業과G 구업口業은G 색色의G 성분을G 함유하고G 있
                                      X]
            존재O불실법不失法SG ཆུད་མི་ཟ་བ།P’ 로G 부르며SG 심불상응행법으로G 간주한다UG 중관G
              존재O불실법不失法SG ཆུད་མི་ཟ་བ།P’ 로G 부르며SG 심불상응행법으로G 간주한다UG 중관G
            O득得SG ཐོབ་བ།P’라는G 것을G 얻는데SG
                                     X] 빚을G 기록한G 문서Oདཔང་རྒྱ།P처럼G ‘사라지지G 않는G
                                   X]
                 부정을G 전체부정이라G 한다UG 중국G 학자들은G ‘무차無遮’로G 옮긴다UG “사람은G 무아無我이다U”
           존재O불실법不失法SG ཆུད་མི་ཟ་བ།P’ 로G 부르며SG 심불상응행법으로G 간주한다UG
                 다고G 주장한다UG O한편G 비파사는PG 유위법은G 무상無常이나G 찰나마다G 소멸되는G
             존재O불실법不失法SG ཆུད་མི་ཟ་བ།P’ 로G 부르며SG 심불상응행법으로G 간주한다UG 중관G
           중관 귀류논증파와 비파사는 신업身業과 구업口業은 색色의 성분을 함유하 중관G
               다고G 주장한다UG O한편G 비파사는PG 유위법은G 무상無常이나G 찰나마다G 소멸되는G
                것은G 아니라고G 주장한다UG 생성된G 후G ‘머무름O주住SG གནས་པ།P’을G 거쳐G 소멸된다
              다고G 주장한다UG O한편G 비파사는PG 유위법은G 무상無常이나G 찰나마다G 소멸되는G
                 는G 문장도G 마찬가지다UG 부정G 대상인G ‘아我’를G 완전히G 부정할G 뿐G 다른G 여지를G 두지G 않는
            귀류논증파와G 비파사는G 신업身業과G 구업口業은G 색色의G 성분을G 함유하고G 있
                                    X]
              귀류논증파와G 비파사는G 신업身業과G 구업口業은G 색色의G 성분을G 함유하고G 있
            존재O불실법不失法SG ཆུད་མི་ཟ་བ།P’ 로G 부르며SG 심불상응행법으로G 간주한다UG 중관G
           귀류논증파와G 비파사는G 신업身業과G 구업口業은G 색色의G 성분을G 함유하고G 있
                 것은G 아니라고G 주장한다UG 생성된G 후G ‘머무름O주住SG གནས་པ།P’을G 거쳐G 소멸된다
               것은G 아니라고G 주장한다UG 생성된G 후G ‘머무름O주住SG གནས་པ།P’을G 거쳐G 소멸된다
             귀류논증파와G 비파사는G 신업身業과G 구업口業은G 색色의G 성분을G 함유하고G 있
                고G 이들은G 설명한다UG G
                 다UG 반면G “h는G 뚱뚱하지만G 낮에는G 음식을G 먹지G 않는다U”라는G 말에는G h가G 낮에는G 먹지G
           고 있다고 주장한다. (한편 비파사는) 유위법은 무상無常이나 찰나마다 소멸
              것은G 아니라고G 주장한다UG 생성된G 후G ‘머무름O주住SG གནས་པ།P’을G 거쳐G 소멸된다
            다고G 주장한다UG O한편G 비파사는PG 유위법은G 무상無常이나G 찰나마다G 소멸되는G
              다고G 주장한다UG O한편G 비파사는PG 유위법은G 무상無常이나G 찰나마다G 소멸되는G
            귀류논증파와G 비파사는G 신업身業과G 구업口業은G 색色의G 성분을G 함유하고G
             다고G 주장한다UG O한편G 비파사는PG 유위법은G 무상無常이나G 찰나마다G 소멸되는G 있
           다고G 주장한다UG O한편G
                 고G 이들은G 설명한다UG G
               고G 이들은G 설명한다UG G 비파사는PG 유위법은G 무상無常이나G 찰나마다G 소멸되는G
                 않는데도G 뚱뚱하다는G 것은G 밤에G 남몰래G 음식을G 먹는다는G 의미가G 들어있다UG 이G 문장에서
                G
              고G 이들은G 설명한다UG G
            것은G 아니라고G 주장한다UG 생성된G 후G ‘머무름O주住SG གནས་པ།P’을G 거쳐G 소멸된다
              것은G 아니라고G 주장한다UG 생성된G 후G ‘머무름O주住SG གནས་པ།P’을G 거쳐G 소멸된다
                 는G “낮에는G 음식을G 먹지G 않는다U”는G 것만G 부정할G 뿐G ‘밤에도G 먹지G 않는다’는G 것을G 부정하
                                                              )’을 거쳐 소멸
            다고G
           것은G 주장한다UG O한편G 비파사는PG 유위법은G 무상無常이나G 찰나마다G 소멸되는G
           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생성된 후 ‘머무름(주住,
               G 아니라고G 주장한다UG 생성된G 후G
                 G 아니라고G 주장한다UG 생성된G 후G ‘머무름O주住SG གནས་པ།P’을G 거쳐G 소멸된다
                                            X^ ‘머무름O주住SG གནས་པ།P’을G 거쳐G 소멸된다
             것은G
                                             에는PG ①보특가라Oགང་ཟགPSG ②식G 혹은G 인지
                ‚Y„G 유경Oཡུལ་ཅན།P에G 대한G 주장UG O유경
                 지는G 않는다UG 이런G 부정을G 부분부정이라G 한다UG 중국G 학자들은G ‘비차非遮’로G 번역한다UG ‘차
              G
            고G 이들은G 설명한다UG G
            것은G 아니라고G 주장한다UG
              고G 이들은G 설명한다UG G 생성된G 후G
                                            X^
                                             에는PG ①보특가라Oགང་ཟགPSG ②식G 혹은G 인지
           고G 이들은G 설명한다UG G               X^ ‘머무름O주住SG གནས་པ།P’을G 거쳐G 소멸된다
               ‚Y„G 유경Oཡུལ་ཅན།P에G 대한G 주장UG
             고G 이들은G 설명한다UG G
                 ‚Y„G 유경Oཡུལ་ཅན།P에G 대한G 주장UG O유경에는PG ①보특가라Oགང་ཟགPSG ②식G 혹은G 인지
           된다고 이들은 설명한다.                   에는PG ①보특가라Oགང་ཟགPSG ②식G 혹은G 인지
                Oཤེས་བ།PSG ③설명하는G 것‚능전能詮„의G 소리Oརོད་བྱེད་ཀི་སྒྲ།PG 등G 세G 가지가G 있다UG G
                 遮’는G 부정하다는G 의미다UG G O유경 X^
              ‚Y„G 유경Oཡུལ་ཅན།P에G 대한G 주장UG O유경
            G
              G
           G 고G 이들은G 설명한다UG G           X^ 16) X^  4        ), ②식 혹은 인
                 Oཤེས་བ།PSG ③설명하는G 것‚능전能詮„의G 소리Oརོད་བྱེད་ཀི་སྒྲ།PG 등G 세G 가지가G 있다UG G
             G
               Oཤེས་བ།PSG ③설명하는G 것‚능전能詮„의G 소리Oརོད་བྱེད་ཀི་སྒྲ།PG 등G 세G 가지가G 있다UG G
                 ①첫째SG 오온의G 집합체일G 뿐인G 것이G ‘보특가라’라는G 이름을G ‘붙일G 수G 있는G
                   유경Oཡུལ་ཅན།P에G 대한G 주장UG O유경 에는) ①보특가라(
              Oཤེས་བ།PSG ③설명하는G 것‚능전能詮„의G 소리Oརོད་བྱེད་ཀི་སྒྲ།PG 등G 세G 가지가G 있다UG G 인지
             [2] 유경 ཡུལ་ཅན།에 대한 주장. (유경 에는PG ①보특가라Oགང་ཟགPSG ②식G 혹은G
            ‚Y„G
                                           에는PG ①보특가라Oགང་ཟགPSG ②식G 혹은G 인지
            G
           ‚Y„G 유경Oཡུལ་ཅན།P에G 대한G 주장UG O유경  X^  에는PG ①보특가라Oགང་ཟགPSG ②식G 혹은G 인지
              ‚Y„G 유경Oཡུལ་ཅན།P에G 대한G 주장UG O유경 X^
             ‚Y„G 유경Oཡུལ་ཅན།P에G 대한G 주장UG O유경에는PG ①보특가라Oགང་ཟགPSG ②식G 혹은G 인지
                  ①첫째SG 오온의G 집합체일G 뿐인G 것이G ‘보특가라’라는G 이름을G ‘붙일G 수G 있는G
                ①첫째SG 오온의G 집합체일G 뿐인G 것이G ‘보특가라’라는G 이름을G ‘붙일G 수G 있는G
                곳’의G 사례事例O사상事相SG མཚན་གཞི།P이다UG 정량부正量部에G 소속된G 일부G 분파는G
               ①첫째SG 오온의G 집합체일G 뿐인G 것이G ‘보특가라’라는G 이름을G ‘붙일G 수G 있는G
            Oཤེས་བ།PSG ③설명하는G 것‚능전能詮„의G 소리Oརོད་བྱེད་ཀི་སྒྲ།PG 등G 세G 가지가G 있다UG G
                                       X^
              Oཤེས་བ།PSG ③설명하는G 것‚능전能詮„의G 소리Oརོད་བྱེད་ཀི་སྒྲ།PG 등G 세G 가지가G 있다UG G 인지
            ‚Y„G 유경Oཡུལ་ཅན།P에G 대한G 주장UG O유경
                                         에는PG ①보특가라Oགང་ཟགPSG ②식G 혹은G
                 ), ③설명하는 것[능전能詮]의 소리(རོད་བྱེད་ཀི་སྒྲ།PG 등G 세G 가지가G 있다UG G
           Oཤེས་བ།PSG ③설명하는G 것‚능전能詮„의G 소리O         ) 등 세 가지가 있다.
           지( Oཤེས་བ།PSG ③설명하는G 것‚능전能詮„의G 소리Oརོད་བྱེད་ཀི་སྒྲ།PG 등G 세G 가지가G 있다UG G
                 곳’의G 사례事例O사상事相SG མཚན་གཞི།P이다UG 정량부正量部에G 소속된G 일부G 분파는G
               곳’의G 사례事例O사상事相SG མཚན་གཞི།P이다UG 정량부正量部에G 소속된G 일부G 분파는G
                “오온의G 다섯G 개G 부분G 모두가G 보특가라의G 사례이다U”고G 주장한다UG
              곳’의G 사례事例O사상事相SG མཚན་གཞི།P이다UG 정량부正量部에G 소속된G 일부G 분파는G
             ①첫째SG 오온의G 집합체일G 뿐인G 것이G ‘보특가라’라는G 이름을G ‘붙일G 수G 있는G
               ①첫째SG 오온의G 집합체일G 뿐인G 것이G ‘보특가라’라는G 이름을G ‘붙일G 수G 있는G
            Oཤེས་བ།PSG ③설명하는G 것‚능전能詮„의G 소리Oརོད་བྱེད་ཀི་སྒྲ།PG 등G 세G 가지가G 있다UG G
            ①첫째SG 오온의G 집합체일G 뿐인G 것이G ‘보특가라’라는G 이름을G ‘붙일G
                 “오온의G 다섯G 개G 부분G 모두가G 보특가라의G 사례이다U”고G 주장한다UG 수G 있는G
               “오온의G 다섯G 개G 부분G 모두가G 보특가라의G
                                                    X_ 사례이다U”고G 주장한다UG 수G 있는G
              ①첫째SG 오온의G 집합체일G 뿐인G 것이G ‘보특가라’라는G 이름을G ‘붙일G
             ①첫째, 오온의 집합체일 뿐인 것이 ‘보특가라’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
                 ②둘째SG 인지O지식P에는G 양量과G 비량非量 G 둘이G 있다UG 먼저G 양에는G 현량과G
            곳’의G 사례事例O사상事相SG མཚན་གཞི།P이다UG 정량부正量部에G 소속된G 일부G
              “오온의G 다섯G 개G 부분G 모두가G 보특가라의G 사례이다U”고G 주장한다UG 분파는G
              곳’의G 사례事例O사상事相SG མཚན་གཞི།P이다UG 정량부正量部에G 소속된G 일부G 분파는G
             ①첫째SG 오온의G 집합체일G 뿐인G 것이G ‘보특가라’라는G 이름을G ‘붙일G 수G 있는G
                                                    X_
           곳’의G 사례事例O사상事相SG མཚན་གཞི།P이다UG 정량부正量部에G 소속된G 일부G 분파는G
                                                  X_
                  ②둘째SG 인지O지식P에는G 양量과G 비량非量 G 둘이G 있다UG 먼저G 양에는G 현량과G
             곳’의G 사례事例O사상事相SG མཚན་གཞི།P이다UG 정량부正量部에G 소속된G 일부G 분파는G
                ②둘째SG 인지O지식P에는G 양量과G 비량非量 G 둘이G 있다UG 먼저G 양에는G 현량과G
                비량比量G 둘이G 있다UG 현량에는G 근현량根現量SG 의현량意現量SG 유가현량瑜伽現
                                                 X_
               ②둘째SG 인지O지식P에는G 양量과G 비량非量 G 둘이G 있다UG 먼저G 양에는G 현량과G
                                       )이다. 정량부正量部에 소속된 일부 분파
            “오온의G 다섯G 개G 부분G 모두가G 보특가라의G 사례이다U”고G 주장한다UG
            곳’의G 사례事例O사상事相SG
           는 곳’의 사례事例(사상事相,  མཚན་གཞི།P이다UG 정량부正量部에G 소속된G 일부G
              “오온의G 다섯G 개G 부분G 모두가G 보특가라의G 사례이다U”고G 주장한다UG 분파는G
                 비량比量G 둘이G 있다UG 현량에는G 근현량根現量SG 의현량意現量SG 유가현량瑜伽現
           “오온의G 다섯G 개G 부분G 모두가G 보특가라의G 사례이다U”고G 주장한다UG
             “오온의G 다섯G 개G 부분G 모두가G 보특가라의G 사례이다U”고G 주장한다UG
               비량比量G 둘이G 있다UG 현량에는G 근현량根現量SG 의현량意現量SG 유가현량瑜伽現
                量G 등G 셋이G 있다UG 자증현량O自證現量SG རང་རིག་མངོན་སུམ།P은G 인정하지G 않는다UG 근현
              비량比量G 둘이G 있다UG 현량에는G 근현량根現量SG 의현량意現量SG 유가현량瑜伽現
                                                X_
                                                  X_
             ②둘째SG 인지O지식P에는G 양量과G 비량非量 G 둘이G 있다UG 먼저G 양에는G 현량과G
               ②둘째SG 인지O지식P에는G 양量과G 비량非量 G 둘이G 있다UG 먼저G 양에는G 현량과G
            “오온의G 다섯G 개G 부분G 모두가G 보특가라의G 사례이다U”고G 주장한다UG
                                              X_
                 量G 등G 셋이G 있다UG 자증현량O自證現量SG རང་རིག་མངོན་སུམ།P은G 인정하지G 않는다UG 근현
                                                X_
            ②둘째SG 인지O지식P에는G 양量과G 비량非量 G 둘이G 있다UG 먼저G 양에는G 현량과G
               量G 등G 셋이G 있다UG 자증현량O自證現量SG རང་རིག་མངོན་སུམ།P은G 인정하지G 않는다UG 근현
              ②둘째SG 인지O지식P에는G 양量과G 비량非量 G 둘이G 있다UG 먼저G 양에는G 현량과G
           는 “오온의 다섯 개 부분 모두가 보특가라의 사례이다.”고 주장한다.
                량은G 모든G 것을G 다G 아는G 인식은G 아니다UG 안근眼根은G 색법色法SG 견見SG 량量G
              量G 등G 셋이G 있다UG 자증현량O自證現量SG རང་རིག་མངོན་སུམ།P은G 인정하지G 않는다UG 근현
              비량比量G 둘이G 있다UG 현량에는G 근현량根現量SG 의현량意現量SG 유가현량瑜伽現
            비량比量G 둘이G 있다UG 현량에는G 근현량根現量SG 의현량意現量SG 유가현량瑜伽現
                                               X_
             ②둘째SG 인지O지식P에는G 양量과G 비량非量 G 둘이G 있다UG 먼저G 양에는G 현량과G
           비량比量G 둘이G 있다UG 현량에는G 근현량根現量SG 의현량意現量SG 유가현량瑜伽現
             비량比量G 둘이G 있다UG 현량에는G 근현량根現量SG 의현량意現量SG 유가현량瑜伽現
                 량은G 모든G 것을G 다G 아는G 인식은G 아니다UG 안근眼根은G 색법色法SG 견見SG 량量G
               량은G 모든G 것을G 다G 아는G 인식은G 아니다UG 안근眼根은G 색법色法SG 견見SG 량量G
                삼자가G 동시에G 한G 자리에G 있어야G 효과가G 있기O효력을G 발생하기PG 때문이다UG
              량은G 모든G 것을G 다G 아는G 인식은G 아니다UG 안근眼根은G 색법色法SG 견見SG 량量G
            量G 등G 셋이G 있다UG 자증현량O自證現量SG རང་རིག་མངོན་སུམ།P은G 인정하지G 않는다UG 근현
              量G 등G 셋이G 있다UG 자증현량O自證現量SG རང་རིག་མངོན་སུམ།P은G 인정하지G 않는다UG 근현
            비량比量G 둘이G 있다UG 현량에는G 근현량根現量SG 의현량意現量SG 유가현량瑜伽現
                 삼자가G 동시에G 한G 자리에G 있어야G 효과가G 있기O효력을G 발생하기PG 때문이다UG
           量G 등G 셋이G 있다UG 자증현량O自證現量SG རང་རིག་མངོན་སུམ།P은G 인정하지G 않는다UG 근현
             量G 등G 셋이G 있다UG 자증현량O自證現量SG རང་རིག་མངོན་སུམ།P은G 인정하지G 않는다UG 근현
               삼자가G 동시에G 한G 자리에G 있어야G 효과가G 있기O효력을G 발생하기PG 때문이다UG
                근식O根識SG དབང་པོའི་ཤེས་པ།P은G 모습이G 없이G 완전히G 드러난G 방식으로G 대상을G 인식
              삼자가G 동시에G 한G 자리에G 있어야G 효과가G 있기O효력을G 발생하기PG 때문이다UG
            량은G 모든G 것을G 다G 아는G 인식은G 아니다UG 안근眼根은G 색법色法SG 견見SG 량量G
              량은G 모든G 것을G 다G 아는G 인식은G 아니다UG 안근眼根은G 색법色法SG 견見SG 량量G
            量G 등G 셋이G 있다UG 자증현량O自證現量SG རང་རིག་མངོན་སུམ།P은G 인정하지G 않는다UG 근현
                 근식O根識SG དབང་པོའི་ཤེས་པ།P은G 모습이G 없이G 완전히G 드러난G 방식으로G 대상을G 인식
             량은G 모든G 것을G 다G 아는G 인식은G 아니다UG 안근眼根은G 색법色法SG 견見SG 량量G
           량은G 모든G 것을G 다G 아는G 인식은G 아니다UG 안근眼根은G 색법色法SG            X` 대상을G 인식
               근식O根識SG དབང་པོའི་ཤེས་པ།P은G 모습이G 없이G 완전히G 드러난G 방식으로G견見SG 량量G
                하지만G 안식을G 수반한G 유색안근O有色眼根SG རྟེན་བཅས་ཀི་མིག་གི་དབང་པོ།P G 역시G 색을G 볼G
              근식O根識SG དབང་པོའི་ཤེས་པ།P은G 모습이G 없이G 완전히G 드러난G 방식으로G 대상을G 인식
                                                                  X` 때문이다UG
            삼자가G 동시에G 한G 자리에G 있어야G 효과가G 있기O효력을G 발생하기PG
              삼자가G 동시에G 한G 자리에G 있어야G 효과가G 있기O효력을G 발생하기PG 때문이다UG
            량은G 모든G 것을G 다G 아는G 인식은G 아니다UG 안근眼根은G 색법色法SG
                                                                 X` 견見SG 량量G
           삼자가G 동시에G 한G 자리에G 있어야G 효과가G 있기O효력을G 발생하기PG 때문이다UG
             삼자가G 동시에G 한G 자리에G 있어야G 효과가G 있기O효력을G 발생하기PG 때문이다UG
                 하지만G 안식을G 수반한G 유색안근O有色眼根SG རྟེན་བཅས་ཀི་མིག་གི་དབང་པོ།P G 역시G 색을G 볼G
               하지만G 안식을G 수반한G 유색안근O有色眼根SG རྟེན་བཅས་ཀི་མིག་གི་དབང་པོ།P G 역시G 색을G 볼G
                수G 있다고G 이G 파는G 주장한다UG 만약G 단지G O안P식만이G 본다면G 담장G 등이G 가리
                                                                X`
              하지만G 안식을G 수반한G 유색안근O有色眼根SG རྟེན་བཅས་ཀི་མིག་གི་དབང་པོ།P G 역시G 색을G 볼G
            근식O根識SG དབང་པོའི་ཤེས་པ།P은G 모습이G 없이G 완전히G 드러난G 방식으로G 대상을G 인식
              근식O根識SG དབང་པོའི་ཤེས་པ།P은G 모습이G 없이G 완전히G 드러난G 방식으로G 대상을G 인식
            삼자가G 동시에G 한G 자리에G 있어야G 효과가G 있기O효력을G 발생하기PG 때문이다UG
           근식O根識SG དབང་པོའི་ཤེས་པ།P은G 모습이G 없이G 완전히G 드러난G 방식으로G 대상을G 인식
             근식O根識SG དབང་པོའི་ཤེས་པ།P은G 모습이G 없이G 완전히G 드러난G 방식으로G 대상을G 인식
                 수G 있다고G 이G 파는G 주장한다UG 만약G 단지G O안P식만이G 본다면G 담장G 등이G 가리
               수G 있다고G 이G 파는G 주장한다UG 만약G 단지G O안P식만이G 본다면G 담장G 등이G 가리
              수G 있다고G 이G 파는G 주장한다UG 만약G 단지G O안P식만이G 본다면G 담장G 등이G 가리

                                                                X`
                                                              X`
            하지만G 안식을G 수반한G 유색안근O有色眼根SG རྟེན་བཅས་ཀི་མིག་གི་དབང་པོ།P G 역시G 색을G 볼G
              하지만G 안식을G 수반한G 유색안근O有色眼根SG རྟེན་བཅས་ཀི་མིག་གི་དབང་པོ།P G 역시G 색을G 볼G
            근식O根識SG དབང་པོའི་ཤེས་པ།P은G 모습이G 없이G 완전히G 드러난G 방식으로G
                X]안식을G 수반한G 유색안근O有色眼根SG རྟེན་བཅས་ཀི་མིག་གི་དབང་པོ།P G 역시G 색을G 볼G
           하지만G                                               X`  X` 대상을G 인식
             하지만G 안식을G 수반한G 유색안근O有色眼根SG རྟེན་བཅས་ཀི་མིག་གི་དབང་པོ།P G 역시G
                  G 『중론』G 「관업품」G 제X[번째G 게송에G ‘불실법’에G 관한G 구절이G 있다UG G 색을G 볼G

           14)  전체부정과 부분부정은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예를 들어 “수행자는 술을 마실 수 없다.”라는 말은


                X^
            수G
                                                              X`
                 X] 있다고G 이G 파는G 주장한다UG 만약G 단지G O안P식만이G 본다면G 담장G 등이G 가리
               X] 수G 있다고G 이G 파는G 주장한다UG 만약G 단지G O안P식만이G 본다면G 담장G 등이G 가리
            하지만G 안식을G 수반한G 유색안근O有色眼根SG རྟེན་བཅས་ཀི་མིག་གི་དབང་པོ།P G 역시G
                  G 『중론』G 「관업품」G 제X[번째G 게송에G ‘불실법’에G 관한G 구절이G 있다UG G색을G 볼G
           수G 수G 있다고G 이G 파는G 주장한다UG 만약G 단지G O안P식만이G 본다면G 담장G
                  G “항아리가G 있다UG 이G 것은G 유위법이다U”라고G 할G 때G 유위법임을G 증명해야G 되는G 대상인G
              X] 있다고G 이G 파는G 주장한다UG 만약G 단지G O안P식만이G 본다면G 담장G 등이G 가리
                G 『중론』G 「관업품」G 제X[번째G 게송에G ‘불실법’에G 관한G 구절이G 있다UG G 등이G 가리
              술에 대한 부정, 즉 “술을 마실 수 없다.”는 의미 이외 다른 무엇을 내포하고 있지 않다. 즉 “낮이든
               X^ G 『중론』G 「관업품」G 제X[번째G 게송에G ‘불실법’에G 관한G 구절이G 있다UG G
                 X^
                ‘항아리O첫G 문장의G 주어P’를G ‘유경有境’G 혹은G ‘유법有法’이라고G 부른다UG
                  G “항아리가G 있다UG 이G 것은G 유위법이다U”라고G 할G 때G 유위법임을G 증명해야G 되는G 대상인G
                G “항아리가G 있다UG 이G 것은G 유위법이다U”라고G 할G 때G 유위법임을G 증명해야G 되는G 대상인G
            수G 있다고G 이G 파는G 주장한다UG 만약G 단지G O안P식만이G 본다면G 담장G 등이G 가리
              X^

              밤이든 술을 마셔서는 안 된다.”는 의미만 들어있다. 이런 부정을 전체부정이라 한다. 중국 학자들
                X_ “항아리가G 있다UG 이G 것은G 유위법이다U”라고G 할G 때G 유위법임을G 증명해야G 되는G 대상인G

                G
            X]
                 ‘항아리O첫G 문장의G 주어P’를G ‘유경有境’G 혹은G ‘유법有法’이라고G 부른다UG
                  G 비량O非量P은G 올바른G 인식에G 맞지G 않은G 것G 혹은G 새롭게G 인식하지G 않은G 인식을G 말하
               ‘항아리O첫G 문장의G 주어P’를G ‘유경有境’G 혹은G ‘유법有法’이라고G 부른다UG
              X]
              G 『중론』G 「관업품」G 제X[번째G 게송에G ‘불실법’에G 관한G 구절이G 있다UG G
                G 『중론』G 「관업품」G 제X[번째G 게송에G ‘불실법’에G 관한G 구절이G 있다UG G
           X]  X] 은 ‘무차無遮’로 옮긴다. “사람은 무아無我이다.”는 문장도 마찬가지다. 부정 대상인 ‘아我’를 완전히 부
              X^ G 『중론』G 「관업품」G 제X[번째G 게송에G ‘불실법’에G 관한G 구절이G 있다UG
              ‘항아리O첫G 문장의G 주어P’를G ‘유경有境’G 혹은G ‘유법有法’이라고G 부른다UG G
                 X_
            G
               X_ 『중론』G 「관업품」G 제X[번째G 게송에G ‘불실법’에G 관한G 구절이G 있다UG G
                  G 비량O非量P은G 올바른G 인식에G 맞지G 않은G 것G 혹은G 새롭게G 인식하지G 않은G 인식을G 말하
                는G 것으로SG 현량O現量P과G 비량O比量P을G 제외한G 의혹O疑惑Pㆍ단식O斷識Pㆍ도식O倒識Pㆍ
                G 비량O非量P은G 올바른G 인식에G 맞지G 않은G 것G 혹은G 새롭게G 인식하지G 않은G 인식을G 말하
            X^
              X_ G “항아리가G 있다UG 이G 것은G 유위법이다U”라고G 할G 때G 유위법임을G 증명해야G 되는G 대상인G
              G “항아리가G 있다UG 이G 것은G 유위법이다U”라고G 할G 때G 유위법임을G 증명해야G 되는G 대상인G
           X^  X^ 정할 뿐 다른 여지를 두지 않는다. 반면 “A는 뚱뚱하지만 낮에는 음식을 먹지 않는다.”라는 말에는
               G 비량O非量P은G 올바른G 인식에G 맞지G 않은G 것G 혹은G 새롭게G 인식하지G 않은G 인식을G 말하
            X] G “항아리가G 있다UG 이G 것은G 유위법이다U”라고G 할G 때G 유위법임을G 증명해야G 되는G 대상인G
              G “항아리가G 있다UG 이G 것은G 유위법이다U”라고G 할G 때G 유위법임을G 증명해야G 되는G 대상인G
                 는G 것으로SG 현량O現量P과G 비량O比量P을G 제외한G 의혹O疑惑Pㆍ단식O斷識Pㆍ도식O倒識Pㆍ
             G 『중론』G 「관업품」G 제X[번째G 게송에G ‘불실법’에G 관한G 구절이G 있다UG G
                사찰O伺察Pㆍ현부정심O現不定心PG 등G 다섯G 가지를G 말한다UG 마지막의G 현부정심은G 의식에
               는G 것으로SG 현량O現量P과G 비량O比量P을G 제외한G 의혹O疑惑Pㆍ단식O斷識Pㆍ도식O倒識Pㆍ
            ‘항아리O첫G 문장의G 주어P’를G ‘유경有境’G 혹은G ‘유법有法’이라고G 부른다UG
              ‘항아리O첫G 문장의G 주어P’를G ‘유경有境’G 혹은G ‘유법有法’이라고G 부른다UG
            X^ A가 낮에는 먹지 않는데도 뚱뚱하다는 것은 밤에 남몰래 음식을 먹는다는 의미가 들어있다. 이 문
              는G 것으로SG 현량O現量P과G 비량O比量P을G 제외한G 의혹O疑惑Pㆍ단식O斷識Pㆍ도식O倒識Pㆍ
           ‘항아리O첫G 문장의G 주어P’를G ‘유경有境’G 혹은G ‘유법有法’이라고G 부른다UG
            X_ ‘항아리O첫G 문장의G 주어P’를G ‘유경有境’G 혹은G ‘유법有法’이라고G 부른다UG
              X_ “항아리가G 있다UG 이G 것은G 유위법이다U”라고G 할G 때G 유위법임을G 증명해야G 되는G 대상인G
                는G 대상이G 떠오르지만G 알G 수G 없는O깨달을G 수G 없는PG 그런G 것을G 말한다UG 예를G 들면G 안식
              G
                 사찰O伺察Pㆍ현부정심O現不定心PG 등G 다섯G 가지를G 말한다UG 마지막의G 현부정심은G 의식에
               사찰O伺察Pㆍ현부정심O現不定心PG 등G 다섯G 가지를G 말한다UG 마지막의G 현부정심은G 의식에
              G 비량O非量P은G 올바른G 인식에G 맞지G 않은G 것G 혹은G 새롭게G 인식하지G 않은G 인식을G 말하
                G 비량O非量P은G 올바른G 인식에G 맞지G 않은G 것G 혹은G 새롭게G 인식하지G 않은G 인식을G 말하
             X_ 장에서는 “낮에는 음식을 먹지 않는다.”는 것만 부정할 뿐 ‘밤에도 먹지 않는다’는 것을 부정하지는
           X_ G 비량O非量P은G 올바른G 인식에G 맞지G 않은G 것G 혹은G 새롭게G 인식하지G 않은G 인식을G 말하
              사찰O伺察Pㆍ현부정심O現不定心PG 등G 다섯G 가지를G 말한다UG 마지막의G 현부정심은G 의식에
              G 비량O非量P은G 올바른G 인식에G 맞지G 않은G 것G 혹은G 새롭게G 인식하지G 않은G 인식을G 말하
            ‘항아리O첫G 문장의G 주어P’를G ‘유경有境’G 혹은G ‘유법有法’이라고G 부른다UG
                 는G 대상이G 떠오르지만G 알G 수G 없는O깨달을G 수G 없는PG 그런G 것을G 말한다UG 예를G 들면G 안식
                이G 대상에G 극도로G 집착할G 때G 갑자기G 소리가G 들리지G 않는G 것과G 같은G 경우를G 말한다UG 이G
               는G 대상이G 떠오르지만G 알G 수G 없는O깨달을G 수G 없는PG 그런G 것을G 말한다UG 예를G 들면G 안식
            는G 것으로SG 현량O現量P과G 비량O比量P을G 제외한G 의혹O疑惑Pㆍ단식O斷識Pㆍ도식O倒識Pㆍ
              는G 것으로SG 현량O現量P과G 비량O比量P을G 제외한G 의혹O疑惑Pㆍ단식O斷識Pㆍ도식O倒識Pㆍ
            X_ 않는다. 이런 부정을 부분부정이라 한다. 중국 학자들은 ‘비차非遮’로 번역한다. ‘차遮’는 부정하다는
              는G 대상이G 떠오르지만G 알G 수G 없는O깨달을G 수G 없는PG 그런G 것을G 말한다UG 예를G 들면G 안식
           는G 것으로SG 현량O現量P과G 비량O比量P을G 제외한G 의혹O疑惑Pㆍ단식O斷識Pㆍ도식O倒識Pㆍ
             는G 것으로SG 현량O現量P과G 비량O比量P을G 제외한G 의혹O疑惑Pㆍ단식O斷識Pㆍ도식O倒識Pㆍ
                경우G 소리가G 없는G 것은G 아니지만G 인식하지G 못한다UG G G않는G 것과G 같은G 경우를G 말한다UG 이G
              G 비량O非量P은G 올바른G 인식에G 맞지G 않은G 것G 혹은G 새롭게G 인식하지G 않은G 인식을G 말하
                 이G 대상에G 극도로G 집착할G 때G 갑자기G 소리가G 들리지G 않는G 것과G 같은G 경우를G 말한다UG 이G
               이G 대상에G 극도로G 집착할G 때G 갑자기G 소리가G 들리지G
            사찰O伺察Pㆍ현부정심O現不定心PG 등G 다섯G 가지를G 말한다UG 마지막의G 현부정심은G 의식에
              의미다.
              사찰O伺察Pㆍ현부정심O現不定心PG 등G 다섯G 가지를G 말한다UG 마지막의G 현부정심은G 의식에
              이G
             사찰O伺察Pㆍ현부정심O現不定心PG 등G 다섯G 가지를G 말한다UG 마지막의G 현부정심은G 의식에
                X` 대상에G 극도로G 집착할G 때G 갑자기G 소리가G 들리지G 않는G 것과G 같은G 경우를G 말한다UG 이G
           사찰O伺察Pㆍ현부정심O現不定心PG 등G 다섯G 가지를G 말한다UG
                 경우G 소리가G 없는G 것은G 아니지만G 인식하지G 못한다UG G G 마지막의G 현부정심은G 의식에
            는G 것으로SG 현량O現量P과G 비량O比量P을G 제외한G 의혹O疑惑Pㆍ단식O斷識Pㆍ도식O倒識Pㆍ
                  Gརྟེན་བཅས་ཀི་དངབ་པོ།G 즉G 유의근O有依根P은G 근식과G 대상이G 부딪혀G 인식G 할G 때의G 모든G 안ㆍ이
               경우G 소리가G 없는G 것은G 아니지만G 인식하지G 못한다UG G G
            는G 대상이G 떠오르지만G 알G 수G 없는O깨달을G 수G 없는PG 그런G 것을G 말한다UG 예를G 들면G 안식
              는G 대상이G 떠오르지만G 알G 수G 없는O깨달을G 수G 없는PG 그런G 것을G 말한다UG 예를G 들면G 안식
           15) 『중론』 「관업품」 제14번째 게송에 ‘불실법’에 관한 구절이 있다.
             는G 대상이G
               X` 대상이G 떠오르지만G 알G 수G 없는O깨달을G 수G 없는PG 그런G 것을G 말한다UG 예를G 들면G 안식
           는G
              경우G 떠오르지만G 알G 수G 없는O깨달을G 수G 없는PG
                 X` 소리가G 없는G 것은G 아니지만G 인식하지G 못한다UG G G 그런G 것을G 말한다UG 예를G 들면G 안식
                  Gརྟེན་བཅས་ཀི་དངབ་པོ།G 즉G 유의근O有依根P은G 근식과G 대상이G 부딪혀G 인식G 할G 때의G 모든G 안ㆍ이
            사찰O伺察Pㆍ현부정심O現不定心PG 등G 다섯G 가지를G 말한다UG 마지막의G 현부정심은G 의식에
                ㆍ비ㆍ설O舌Pㆍ신O身P근을G 말한다UGG 근식과G 대상이G 부딪혀G 인식G 할G 때의G 모든G 안ㆍ이
                Gརྟེན་བཅས་ཀི་དངབ་པོ།G 즉G 유의근O有依根P은
            이G 대상에G 극도로G 집착할G 때G 갑자기G 소리가G 들리지G 않는G 것과G 같은G 경우를G 말한다UG 이G
              X` 이G 대상에G 극도로G 집착할G 때G 갑자기G 소리가G 들리지G 않는G 것과G 같은G 경우를G 말한다UG 이G
               Gརྟེན་བཅས་ཀི་དངབ་པོ།G 즉G 유의근O有依根P은G 근식과G 대상이G 부딪혀G 인식G 할G 때의G 모든G 안ㆍ이

           16)  “항아리가 있다. 이 것은 유위법이다.”라고 할 때 유위법임을 증명해야 되는 대상인 ‘항아리(첫 문장의
           이G 대상에G 극도로G 집착할G 때G 갑자기G 소리가G 들리지G 않는G 것과G 같은G 경우를G 말한다UG 이G
             이G 대상에G 극도로G 집착할G 때G 갑자기G 소리가G 들리지G 않는G 것과G 같은G 경우를G 말한다UG 이G
            는G 대상이G 떠오르지만G 알G 수G 없는O깨달을G 수G 없는PG 그런G 것을G 말한다UG 예를G 들면G 안식
                 ㆍ비ㆍ설O舌Pㆍ신O身P근을G 말한다UG
                                                5  G G
              경우G 소리가G 없는G 것은G 아니지만G
               ㆍ비ㆍ설O舌Pㆍ신O身P근을G 말한다UG 인식하지G 못한다UG G G
            경우G 소리가G 없는G 것은G 아니지만G 인식하지G 못한다UG
              주어)’를 ‘유경有境’ 혹은 ‘유법有法’이라고 부른다.
            X` 경우G 소리가G 없는G 것은G 아니지만G 인식하지G 못한다UG G G
           경우G ㆍ비ㆍ설O舌Pㆍ신O身P근을G 말한다UG 소리가G 들리지G 않는G 것과G 같은G 경우를G 말한다UG 이G
              X` 소리가G 없는G 것은G 아니지만G 인식하지G 못한다UG G G
            이G 대상에G 극도로G 집착할G 때G 갑자기G
                                                5
                  Gརྟེན་བཅས་ཀི་དངབ་པོ།G 즉G 유의근O有依根P은G 근식과G 대상이G 부딪혀G 인식G 할G 때의G 모든G 안ㆍ이
                                              5
           X`  X` Gརྟེན་བཅས་ཀི་དངབ་པོ།G 즉G 유의근O有依根P은G 근식과G 대상이G 부딪혀G 인식G 할G 때의G 모든G 안ㆍ이
             Gརྟེན་བཅས་ཀི་དངབ་པོ།G 즉G 유의근O有依根P은G 근식과G
              Gརྟེན་བཅས་ཀི་དངབ་པོ།G 즉G 유의근O有依根P은G 근식과G 대상이G 부딪혀G 인식G 할G 때의G 모든G 안ㆍ이
                                              5  대상이G 부딪혀G 인식G 할G 때의G 모든G 안ㆍ이
            경우G 소리가G 없는G 것은G 아니지만G 인식하지G 못한다UG G G

            ㆍ비ㆍ설O舌Pㆍ신O身P근을G 말한다UG
                 ㆍ비ㆍ설O舌Pㆍ신O身P근을G 말한다UG
            X`
             ㆍ Gརྟེན་བཅས་ཀི་དངབ་པོ།G 즉G 유의근O有依根P은G 근식과G 대상이G 부딪혀G 인식G 할G 때의G 모든G 안ㆍ이
           ㆍ비ㆍ설O舌Pㆍ신O身P근을G 말한다UG            5   5
               비ㆍ설O舌Pㆍ신O身P근을G 말한다UG
            ㆍ비ㆍ설O舌Pㆍ신O身P근을G 말한다UG
           142                             5   5

                                            5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