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 고경 - 2019년 8월호 Vol. 76
P. 46

‘진흙 소’는 물에 바로 녹아 버리는 존재로, 물 위에 비치는 달빛을 갈

           아엎을 수 없다. 아울러 구름 속의 ‘나무 말’이 풍광을 이끈다는 것도 있
           을 수 없고, ‘허공의 뼈다귀’ 또한 허상이다. 이러한 선어들은 ‘본래의 나’

           즉, 불성을 비유한 것이다. 결국 허상을 깨고 허상을 떠나야 실상을 볼 수
           있음을 역설한 것이다. 마지막 시행, ‘하늘 밖 외로운 학의 울음’은 고독

           한 산승의 깨달음의 사자후일 것이다. 태능의 이러한 격외언어의 시적 묘
           미는 다음의 시에서 한결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한 그루 그림자 없는 나무                       일주무영목一株無影木

              불 속에 옮겨 심었네                          이취화중재 移就火中栽
              봄비가 오지 않아도                           불가삼춘우不假三春雨

              붉은 꽃 어지럽게 피어나네                       홍화난만개紅花爛漫開



             일상적인 사유체계를 초월한 선적 묘사로, ‘일선화一禪和에게 답한 게
           송이다. ‘무영목’은 어떤 것에도 물들거나 파괴되지 않는 본래 부처의 성

           품을 상징한다. 화자가 불 속에 이 나무를 옮겨 심은 것은 중생들이 번뇌
           와 욕망의 불길 속에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나무[보리수]는 음양의 영

           향을 받지 않으므로 그림자가 없고, 불에 타지도 않고, 물에 젖지도 않는
           다. 때문에 물이 없어도 이 나무는 자란다. 물론 계절에 따라 피는 꽃도

           아니다. 하여 봄비도 필요 없고 훈풍도 필요 없으며, 햇빛도 필요 없다.
           하지만 번뇌와 욕망의 불길 속에서도 깨달음의 꽃은 언제나 아름답고 붉

           게 피어난다는 것이다. 선지가 번뜩이는 압권의 시편이다.
             불가에서 달의 이미지는 중요하게 여겨진다. 중국 선종 제3조 승찬은

           ‘원동태허 무결무여圓同太虛 無缺無餘’로 달의 상징성을 말하고 있다. 지극한



           44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