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3 - 고경 - 2019년 9월호 Vol. 77
P. 123
고 한다.(三枝<1>[하])
사이구사의 다섯 가지 테제
[p.182-2] 이 일련의 기사에 사이구사가 제기한 모든 것이 나타나고
있는 까닭에 그것들을 정리해 둔다.
(A) 12지연기는 붓다의 깨달음의 내용이 아니다.
(B) 12지연기로 대표되는 유지연기에 붙어있는 차연성의 내용은 연기
설 일반을 형식적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유지연기에 있어 서로 인접한
2지 사이의 생기와 소멸의 인과관계를 정식화한 것에 다름 아니다.
(C) 일반적 연기설(연기라는 사상 그 자체)은 12지연기나 차연성과는 별개
로 제시된다.
(D) 유지연기·차연성도, 일반적 연기설도, 일방향의 의존관계를 나타
낼 뿐 상호의존의 관계는 나타내지 않는다.
(E) 유지연기·차연성도, 일반적 연기설도, 무상, 고, 무아, 4제 등의
불교 기본교리의 기초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이구사의 설을, 제2의 논자로서 <중외일보>의 무대에 등장
한 미야지 카쿠에는 거의 인정한다.
미야지 카쿠에의 모티브론
[p.183-1] 단 미야지가 강하게 고집한 것이 ‘석존 깨달음의 독자성’이
다. 확실히 12지연기는 붓다 깨달음의 내용을 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깨
달음의 성격, 의의 또는 덕용德用을 설하고 있다고 말한다(宮地<2>).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