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5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125
『 』 제81호 | 선시산책 20 시와 술과 거문고를 너무 좋아하
삼혹三酷 거사 이규보
여 ‘삼혹호三酷好’ 선생으로 불렸던
이규보(1168-1241)는 평생을 ‘시마詩
魔’에 붙들려 살았다. 그런데 그의
산사의 달빛 시벽詩癖은 결국 시마에 대한 관심
탐낸 자유인 과 그것의 극복으로 연결된다. 특히
그는 시 창작에 있어 감정에 연유하
여 발로되는 ‘연정이발緣情而發’과 시
백원기 는 새로운 뜻[新意]과 새로운 언어[新
동방문화대학원대 석좌교수
語]로 담아내야 한다는 ‘어의창신론
문학평론가
語意創新論’을 시론의 핵심으로 삼았
다. 그의 이러한 독특한 시론은 선심
의 시심화에서 한결 두드러지게 나
타나고 있다.
과거에 합격한 후 벼슬을 제수 받
지 못하고 방황하던 시절, 이규보는
자연스럽게 산사를 찾게 되었고, 스
님들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의 고달
픈 심경을 달래기도 하였다. 어쩌면
산사는 그에게 세상의 번다함과 현
실의 시비분별을 떠난, 마음의 여유
백원기 전 국제포교사회 회장, 전 한국
와 탈속한 정신세계를 지향하는 공
동서비교문학회 부회장. 저서로 『선시
의 이해와 마음치유』, 『불교 설화와 마음 간으로 놓이게 된다 할 수 있다.
치유』, 『숲 명상시의 이해와 마음치유』
등 다수가 있다.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