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6 - 고경 - 2020년 2월호 Vol. 82
P. 146

『   』 제82호 |                 Ⅰ. 유식 교의의 원리
              꼰촉직메왕뽀 『교의론』 번역 3

                                             1) 정의, 2) 분류, 3) 글자 의미 해

                                           석, 4) 주장 등 네 가지가 있다.
           유식파Sems tsam pa

                                             1) 첫째, 외부의 대상을 인정하지
                                           않고 의타기성이 실제로 존재한다

           [티베트] 꼰촉직메왕뽀* 지음
           [한   국] 조    병    활   옮김













             조병활   2012년 6월 북경대 철학과에서
             북송北宋  선학사상禪學思想  연구로  철학
             박사 학위 취득. 2018년 6월 중앙민족
             대 티베트학연구원에서 티베트불교 연구                       꼰촉직메왕뽀가 지은
             로 박사학위  취득. 현 성철사상연구원장.                    『꾼켄잠양세빠 전기』.
                                                        난주:감숙민족출판사, 1987.

           *  dKon mchog ’jigs med dbang po/ 1728-1791. 티베트 암도 지방(청해성)의 잰차(gcan tsha)에서 태어
            난 그는 라창쟈시칠(bla brang bkra shis ’khyil 감숙성에 위치)이라는 대규모 사원을 1709년 건립한 꾼켄잠양
            세빠(kun mkhyen 'jam dbyangs bzhad pa 1648-1722)의 제2대 전승자(윤회한 사람, 즉 활불)로 인정받았으며, 1773
            년에 저술한 책이 바로 이 『교의론』이다. 한편, 제5대 달라이라마의 상수제자인 꾼켄잠양세빠의 윤회
            전승자를 지정해 계승하는 전통은 지금도 라창쟈시칠에서 이어지고 있다. ko zhul grags pa ’byung
            gnas dang rgyal ba blo bzang mkhas grub, gangs can mkhas grub rim byon ming mdzod, lan
            kru’u:kan su’u mi rigs dpe skrun khang, 1992, shog ngos 40-42·44-46. 한편 꾼켄잠양세빠
            의 윤회 전승자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dkon mchog ’jigs med dngab po, kun mkhyen ’jam
            dbyangs bzhad pa’i rnam thar, lan kru’u:kan su’u mi rigs dpe skrun khang, 1987; 第二世嘉木
            樣  久美旺波著, 楊世宏譯, 『第一世嘉木樣傳』, 蘭州:甘肅民族出版社, 1994; 扎扎編著, 『嘉木樣呼圖克
            圖世系』, 蘭州:甘肅民族出版社, 1998 등을 참조하라.



           144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