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0 - 고경 - 2020년 4월호 Vol. 84
P. 90

켜세우고 대중을 불러서 일체가 환幻임을 이해하여 생사일대사를 해결해

           야 할 것을 설한다.
             권17은 『의한산시擬寒山詩』이다. 여기에는 100수에 달하는 한산시를 편

           집한 것은 그 내용이 교외별전의 종지와 관계가 깊을 뿐만 아니라 이것을
           통하여 선종의 활구活句·사구死句·전제全提·반제半提, 그리고 금擒·종

           縱에 치우침이 없는 여탈자재與奪自在한 이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심
           하지 못하는 납자들에게 교훈으로 삼으려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권18는 『동어서화東語西話』이다. 22가지 주제에 대하여 설명식
           으로 제시한 법어이다. 여기에는 마음, 인연, 수행의 자세, 불법의 비방

           에 대처하는 방식 등 납자가 지녀야 하는 주의사항 등이 널리 설명되어
           있다. 또한 마지막 대목은 자신의 약력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이다.

             권19 및 권20은 『동어서화속집東語西話續集』이다. 32가지 주제에 대하
           여 위의 『동어서화』에 붙여 놓은 법어로서 납자들이 반드시 명심하고 정

           진해야 하는 자세 등에 대하여 담론하고 있다.
             이 외에 『천목중봉화상잡록天目明本禪師雜錄』 3권은 『중봉화상광록』에 수

           록되지 않은 시중·법·게송류 등을 일본에서 수집하여 간행한 것이다. 권
           념아미타불勸念阿彌陀佛·두타고행가頭陀苦行歌·탁발가托鉢歌·행각가行脚

           歌·자주득가自做得歌·수운자재가水雲自在歌 등의 가송도 포함되어 있다.
           서문序文·발문跋文·간기刊記도 없고 편찬자도 미상인데, 일본의 토쿠가와

           德川 중기 무렵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잡록』 3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권1에는 90꼭지의 법어(혹 게송) 및 ①두타고행가頭陀苦行歌 ②탁발가托

           鉢歌 ③행각가行脚歌 ④자주득가自做得歌 ⑤지오가紙襖歌 ⑥수운자재가水雲
           自在歌 ⑦송화름가松花廩歌 등 7종의 가송. 권2에는 50꼭지의 법어(혹은 게

           송). 권3에는 34꼭지의 법어 및 ①천목중봉화상회정토시天目中峯和尙懷淨土



           88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