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4 - 고경 - 2020년 5월호 Vol. 85
P. 114
무리 오염된 종자가 사라졌다라고 해도 깨달은 상태란 현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구양경무에게 진여는 생성 소멸되지 않는 절대적인 실체이고,
진여와 정지는 서로 차원이 다른 영역에 속한다.
구양경무의 이러한 논의는 진여의 절대성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나
온 것이다. 그런데 『대승기신론』에는 아예 정지正智라는 단계를 설정하지
않고 생성·소멸하는 현상 세계의 모든 모습 그대로를 다 진여의 표현으
로 보고 있으니, 잘못도 이런 큰 잘못이 없는 것이다. 반면 태허는 『대승
기신론』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 현상 세계의 모든 것은 진여의 표현이며
따라서 진여는 생성 소멸하는 부동의 실체가 아니라 인연에 따라 움직이
는 활동성을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진여와 무명은 상호 훈습이 가능한가
진여가 불생불멸한 실체인가, 아니면 인연에 따라 활동하는 존재인
가 라는 문제를 둘러싼 구양경무와 태허의 논쟁은 사실상 ‘진여의 훈습薰
習’이라는 문제와 연관된다. 이 문제에 관하여 구양경무가 『대승기신론』을
비판하는 논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진여가 훈습될 수 있다는 것,
또 다른 하나는 종자 없이 인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유식
불교는 아라야식 속 종자들의 현행으로 현상 세계의 다양한 모습을 설명
하였다. 우리 마음 깊은 속에 있는 경향성이 현실 세계에 나타나고[현행現
行], 현실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이 다시 우리 마음속에 그러한 행동
의 경향성으로 축적되게 된다[훈습薰習]고 한다. 그러나 구양경무가 보기
에, 이러한 훈습과 현행의 상호 작용은 진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고, 진
여는 활동성이 전혀 없는 부동의 상태로 종자들과 떨어져 존재하고 있다.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