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7 - 고경 - 2020년 5월호 Vol. 85
P. 157
성론』, 『법법성론』, 『중변분별론』, 『현증장엄론』, 『장엄경론』 등을 티베트
말로 옮겼다. 이들 사제는 인명因明을 중시한 것이 특징이다. 요가행중
관자립파에 속하는 적호와 연화계의 사상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많았다.
물론 『중관심론』과 주석서인 『사택염』을 번역
해 달라고 요청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경부
28)
행중관자립파 에 속하는 청변의 사상에도 흥
미를 느끼고 있었다. 결국 중관귀류파 보다는
중관자립파 연구에 보다 집중했다. 티베트불교
전홍기에 유행했던 요가행중관자립파 체계를
잊지 않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옥로덴세랍이 공부하던 1079년 무렵 티베트
에서 새로운 유학생 한 명이 캐시미르로 왔다.
파찹니마닥(1055-?)이다. 둘은 캐시미르에서 같
이 공부했다. 서로 알았는지는 분명하지 않지
만 옥로덴세랍이 인명因明과 유가행중관자립파
에 관심이 많았다면 파찹은 월칭(찬드라키르티)의
사상에 흥미를 보였다. 1100년 경 티베트로 돌 사진 8. 『대원만 수행요결』,
티베트어판.
아온 파찹은 월칭이 지은 『입중론入中論』, 『근본
중송』에 대해 월칭이 주석한 『명구론明句論』, 제바의 『사백론四百論』, 『사백
론』에 대해 월칭이 주석한 『사백론주』 등을 번역하고 개정했다. 동시에 치
28)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세속제에서는 인식[식識]을 승인하고 않고 외경이 자상自相으로 존재한다고 인
정하며, 승의제에서는 자상조차 인정하지 않는 중관 사상을 가리킨다.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