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8 - 고경 - 2020년 5월호 Vol. 85
P. 158
송데짼 시기 번역된 용수의 저서들을 새롭게 보완하거나 개역했다. 그는
논리학적 인식론으로 『중론』의 근본요지를 설명하려는 시도 보다는 귀류
29)
적인 방식으로 공성을 논증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다. 그의 문하에서
중관귀류파는 새롭게 꽃 필 시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장꺄롤뻬돌제(1717-
1786)도 그의 『교의론敎義論』에서 이 점을 지
적했다.
“앞 시대의 대역경사 파찹니마닥 역
시 캐시미르에서 23년간 공부한 뒤
‘세르끼고차(까나까와르만)’라 불리는
대학자를 초청했다. [파찹은 세르끼고차
와 함께] 중관 논서를 많이 번역했으
며, [제자들을] 가르치고 [제자들은 가르
침을] 들었다. 파찹의 4대 제자 등 유
명한 제자들이 많은 나타났다. 티베
트에서 월칭 계통의 중관 해석은 이
30)
로부터 더욱 발전했다.”
사진 9. 『친우서』, 운주사.
중관귀류파에 대한 관심이 점증하던 이
시기 어느 때 중관자립파(dbu ma rang rgyud pa, 스와딴드리까)와 중관귀류파
29) 『께따카』, p.69.
30) Grub mtha’ thub bstan lhun po’i mdzes rgyan, pe cin:krung go’i bod kyi shes rig dpe skrun
khang, 1989, p.202.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