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고경 - 2020년 9월호 Vol. 89
P. 42

삼종미세三種微細와 유분별有分別인                구별하기 힘든 세 가지와 비교적 커
           육종추중六種麤重이 있어 팔만사천                구별할 수 있는 여섯 가지가 있어

           의 무량번뇌를 파생派生한다. 3세三              팔만사천 가지나 되는 수많은 번뇌
           細는  근본무명으로  아리야阿梨耶,              를 불러일으킨다. 세 가지 미세한

           아타나阿陀那,  제8식第八識  등으로             번뇌는 근원적인 어리석음으로 아
           부르고 6추六麤는 의식意識 혹은 제              리야,  아타나,  제8식  등으로  부르
           6식第六識이라 한다. 그리고 제7말              고, 여섯 가지 비교적 큰 번뇌는 의

           나第七末那는  “계내위아計內爲我하               식 혹은 제6식이라 한다. 그리고 당

           야 속전삼세屬前三細하고 계외위아                나라의  현수법장은  제7말나에  대
           소計外爲我所하야  속후육추屬後六                해 “제8식을 ‘자기’로 잘못 생각하므

           麤일새 약불론略不論”(賢首 『起信論義             로 세 가지 미세한 번뇌에 속하고,
           記』, 『大正藏』44, p.263a)이라 하였다.      제1식부터 제6식까지를 ‘나의 것’으

           제사諸師의  논소論疏에  3세三細를              로 그릇되게 생각하므로 여섯 가지
           아뢰야라 함은 일치하나, 6추六麤에              비교적 큰 번뇌에 속하기에 생략하
           대하여서는 육식六識 혹은 육칠식                고 논의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여

           六七識이라  하여  논설이  한결같지             러 스님들이 저서에서 세 가지 미세

                                      1)
           않다.  그러나  감산덕청憨山德淸 도             한 번뇌를 아뢰야라 함은 일치하나,
           “기칠其七은 내허가乃虛假니 고로 능              여섯 가지 비교적 큰 번뇌를 육식

           가楞伽에 운云 7식七識은 불류전不               혹은 육칠식이라 말해 견해가 서로
           流轉하나니  비생사인非生死因”(『百法             같지 않다. 그러나 명나라 감산덕청

           論議』)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제7말             은  “제7식은  실체가  없는  것이다.
           나第七末那를  별론別論하지  않아도              그래서 『능가경』에도 제7식은 움직
           수도상修道上에 관계없으므로 현수                여  활동하지  않으니  삶과  죽음의

           설을 취하였다.                         원인은  아니다.”라고  하였다.  그러



           40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