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6 - 고경 - 2021년 1월호 Vol. 93
P. 126

했고, 종승도 종지도 더 이상 남아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물론 조선불교를
           걱정해서 하는 말이 아니었다.
             불교가 탄압과 소외받기 시작했던 조선건국 이후부터 정확히 해방 이후

           까지도 우리는 우리 불교 역사와 그 문화에 대해 문외한이었고 관심도 없

           었다. 유구한 불교 의식儀式과 신앙이 미신迷信으로까지 취급당하고, 경전
           은 절 뒷간에서 찢겨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남선은 “한국의 역사는 정치법
           제, 교학문예라는 어떤 방면으로든지 불교와 불교도의 관련을 제외하고는

           해석하고 밝게 판단할 수 없다.”고 했고, 이능화 역시 “우리나라에 불교가

           들어온 이후 이 땅에 불연佛緣이 깊고 해인사의 대장경 또한 세계의 법보法
           寶가 되었다.”고 했다. 우리나라 고승의 전기를 수집한 박봉석(朴奉石, 1885-

           1910)이나 10여 년 동안 불교 사료를 찾아 팔도의 산천을 헤맨 권상로(權相
           老, 1879-1965) 같은 일제강점기 불교계의 지성知性들 역시 한국불교의 역사

           와 문화가 지닌 가치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 불교사 복원에 일생을 바
           쳤던 것이다.
             연재는 조선시대에 편찬되고 찬술된 역사서와 사대부의 문집, 스님들이

           찬술한 사적기寺蹟記 속의 불교사 등을 소개할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은

           불교를 탄압하고 소외시킨 기록들만 있는 것은 아니어서 왕과 신료들의 불
           교인식에 대한 민낯을 볼 수 있고, 사대부들은 팔도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풍류와 함께 사찰의 역사를 기록하고 덕 높은 스님들의 비문을 그들의 문

           집에 옮기기도 하였다. 다산 정약용은 유배기간 동안 유구한 불교 역사가

           사라지는 것을 염려하여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불교 기록을 뽑아 『대동선
           교고大東禪敎攷』를 찬술하기도 하였다.



                “불교가 중국에서부터 해동海東에 이른지가 1천 7백여 년이나



           124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