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 고경 - 2021년 2월호 Vol. 94
P. 50

【강설】 태고 스님은 발심한 후 20여 년을 한결 같이 공부에 매진해 37세에
          오매일여의 경지에 이르고 다음 해에 크게 깨쳤다. 그래서 태고라는 이름
          도 스스로 지었다. 스스로는 의심이 없었지만 명안조사를 찾아 인증을 받

          아야겠다는 생각에 중국으로 건너가 석옥청공石屋淸珙 선사를 찾아갔다.

          석옥 스님은 설암조흠雪巖祖欽 선사의 법을 이은 급암종신及庵宗信 선사의
          제자로 당시 인천의 안목으로 추앙받던 분이었다. 그분으로부터 의심의 여
          지없이 확철대오하였음을 인정받았다. 그러니 태고 스님도 오매일여를 거

          쳐 대오하고 인가받았던 것이다. 철저히 깨쳤더라도 오매일여가 되는지 점

          검해야 하며, 또 오매일여가 되었더라도 반드시 정안종사를 찾아가 점검받
          는 것이 우리 종문의 철칙이다.



          【8-10】  ①공부가  이미  동정動靜에         ✽ ①공부가 이미 움직이거나 움직

          간단間斷 없으며 오매에 항상 일여함             이지 않거나 끊어지지 않고 점점 무
          에  이르러  저촉抵觸하여도  산거散            르익어  자나  깨나  똑같이  화두가
          去하지 않고 탕탕蕩蕩히 망실亡失되              들리는 경지에 이르면 대상에 부딪

          지도 않는다. 구자狗子가 극열極熱한             혀도 흩어지지 않고 물결이 걸림 없

          유당油鐺을 봄과 같아서 핥으려야 핥             이 흘러가듯 없어지거나 잃어버리
          을 수도 없고 버리려야 버릴 수 없을            지 않는다. 개가 매우 뜨거운 기름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합당한고? ①工             솥을 보는 것처럼 핥으려야 핥을 수

          夫가 旣到動靜無間하며 寤寐恒一하               도 없고 버리려 해도 버릴 수 없을

          야 觸不散蕩不失하야 如狗子見熱油               때에는 어떻게 해야 적절한가?
          鐺相似하야  要舐又舐不得하며  要

          捨又捨不得時에 作麽生合殺오. (①
          『懶翁集』, 『韓國佛敎全書』6, p.722c)



          48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