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 고경 - 2021년 3월호 Vol. 95
P. 44

에 의해 『향상문답香象問答』이라고도 불리는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으로 엮
          인 것을 보면 당시 공부하는 방법이 어땠는지 짐작이 간다.
           이처럼 묻고 답하면서 지식이 전해지는 것은 당시 보편적 공부법인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전하는 강사는 한 명이고, 듣는 학생은 수백이니 넓은 공

          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했어야 함은 분명하다. 당시 면학분위기야 충분히
          짐작이 가지만 지금처럼 확성기도 없는 사정에서야 건물을 어떻게 사용하
          는 것이 효과적이었을까? 공간을 넓게 사용하는 것보다 무량수전처럼 좁

          게 사용하는 것이 강사의 목이 좀 덜 아팠을 것이다.



            사라진 금당



           겸재정선(1676-1759)이 57세에 그린 『교남명승첩』에 실린 7번째 그림이 ‘순

          흥 부석사’인데 이 그림을 보면 안양루를 사이에 두고 위에 무량수전과 아
          래에 법당이 있었다는 걸 한 눈에 알 수 있다(사진 6).
           이외에도 안정구(1803-1863)가 1849년에 쓴 『재향지梓鄕志(부제 순흥읍지)』

                                            에 실린 ‘불우佛宇’항목에 부석사

                                            에 관한 내용이 비교적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 내용은 안양문
                                            앞에 법당이 있고, 그 좌우에 선

                                            당과 승당이 있으며 다시 그 앞에

                                            는 종각이 있다고 분명하게 기록
                                            되어 있어 『교남명승첩』에 실린 부
                                            석사 그림과 일치한다(사진 7).

          사진 6. 『교남명승첩』 중 부석사도.               지금은 옆으로 선 범종각만 남



          42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