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3 - 고경 - 2021년 4월호 Vol. 96
P. 113

명단’과 ‘장기기증 서약서’ 역시 누구나 작성할 수 있는
             문서가 아니다. 그래서 ‘진귀한 신체에서 나온 사리(유골)’
             다. 「진신사리」가 가리키는 ‘달[月]’은 명백하다. ‘이치에

             맞는 말[合頭語]’은 참다운 행동(수행)이 될 수 없고 ‘진실

             한 문서(명단과 서약서)’는 ‘나귀 묶는 말뚝’이 결코 아니라
             는 것이다.
               홍 시인은 『내년에 사는 법』, 『고마운 아침』, 『터널을

             지나며』 등 3권의 시집에서 누구나 겪는 일 속에 내포
                                                              사진 4. 『터널을 지나며』.
             되어 있으나 설명하기 쉽지 않은 이치를 소박한 말로
             풀었다. 그렇다고 그저 ‘재미있고 우스운 시집’은 결코
             아니다. 간명한 시 속에 지극한 이치를 담아 독자들이 스스로 달을 깨닫

             도록 했다. 따라 읽는 독자들은 자연스레 삼단의 높은 파도를 뛰어 넘어

             ‘용’으로  변한다.  금나라(金,  1115-1234)를  대표하는  문인  원호문(元好問,
             1190-1257)이 「호화상송서暠和尙頌序」에서 “시는 수행자에게 아름다운 비
                                                                  8)
             단을 덧붙이는 것이며, 선은 시인에게 옥을 자르는 칼이다.” 고 지적했
             듯이 3권의 시집에 사용된 진솔하고 맛깔스런 언어는 시인에겐 아름다

             운 비단이고, 독자들에겐 어리석음을 잘라내는 칼이다. 아름다운 비단은
             방편이고 칼은 지혜를 상징한다. 방편과 지혜가 잘 조화된 ‘시’는 ‘손가락’
             이 아니고 ‘달 그 자체’다.












             8)  “詩爲禪客添花錦, 禪是詩家切玉刀.” 『元好問全集』(增訂本, 上), 太原: 山西古籍出版社, 2004, p.782.


                                                                         111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