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6 - 고경 - 2021년 11월호 Vol. 103
P. 76

둘째는,  중국  청대淸代에  편찬된
                                         대표적 자전인 『강희자전康熙字典』에
                                         의하면 ‘茶’는 ‘眞加切진가절 鋤加切서

                                         가절 丈加反장가반 垞加反타가반 弋奢

                                         反익사반’으로 발음됨을 표기하고 있
                                         으니 ‘짜’, ‘차’, ‘사’로 발음됨을 알 수
                                         있다.

                                           셋째는, 차사茶事와 관련된 용어들

                                         이 우리나라 『동국정운東國正韻』, 『월
          사진 1. 계간 『차생활』 창간호 채원화 논문.     인석보月印釋譜』  등  여러  언해본諺解
                                         本 소설류 등에서 ‘차’로 표기되어 있

          음을 확인할 수 있다.



              - 『 동국정운東國正韻』은 조선朝鮮 세종世宗이 우리나라 한자음을 바
                 로잡기 위해 간행한 책으로, ‘茶’가 ‘ ’로 나타내는데 ‘ ’ 자는

                 오늘날의 ‘짜’와 같은 된소리로 발음된다.

              - 『 월인석보月印釋譜』는 훈민정음 이후 제일 먼저 나온 언해서로,
                 ‘멀(8권, 90)’로 나타나 있다.
              - 『 두시언해杜詩諺解』는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를 한글로 해석한

                 책으로, 15권에 ‘봄 람에 차 마시’, ‘차 한 번 다린다’ 등으로

                 나타내었다.
              - 『 훈몽자회訓蒙字會』는 중종 때 아동들을 위한 한자 학습서로,
                 ‘茶’가 ‘’로 발음 표기가 되어 있다.

              - 『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는 조선시대의 중국어 학습서이다. 중간



          74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