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4 - 고경 - 2022년 1월호 Vol. 105
P. 104

이다. 둘째, 오랜 역사 속에서 왜곡된 현
                                     실적인 불교계의 여러 난맥을 타기하고
                                     부흥을 이끌기 위해 탄생한 중앙불전의

                                     존재의 이유와 발전에 대한 담론 개진의

                                     장이다. 졸업생들의 진로 문제에 대한 고
                                     민도 포함된다. 셋째, 불교문학에 대한 관
                                     심과 작품 발표의 장이다.

                                       『일광』의 모든 글이 일정한 표제어(편명)

                                     로 정형화되지는 않았지만, 『일광』의 편제
          사진 3. 포광 김영수(1884-1967).
                                     는  목차-권두언-학술논문-논설  및  수
          필-문학공간-휘보-편집후기 순으로 구성되었다.

           학술논문은 김영수, 강전준웅, 박한영, 권상로, 김경주, 조명기 등 중앙

          불전 교수진의 연구 성과가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불교학 분야의 비중 있
          는 학술논문이 주목된다. 이어 교내 문제에 대한 여러 구성원들의 시론時
          論, 현실 불교에 대한 다양한 논의, 논리적 사유를 담아낸 짤막한 글 등이

          수록되어 있다. 교수진의 글은 학술적인 내용과 시사적인 내용이 섞여 있

          는 경우도 많다.
           수필에는 교우회의 춘계·추계 정기 원유회, 중앙불전 졸업반의 국내외
          수학여행기 등이 포함되어 있고, 졸업반 학생들이 종교와 인생을 소재로

          하여 쓴 단상들이 수록되어 있다.

           문학공간은 주로 시와 시조, 소설 작품이 수록되었다. 1~3호는 재학생
          의 작품이 주로 수록되었다. 4호부터 교우회의 성격이 변하면서 수록 내
          용에도 변화가 발생하였는데, 4호에는 문학란이 없으며, 5호에는 소설 1

          편만 수록되었다. 6호에는 교수(최남선, 정준모)의 시와 시조가 수록되었고,



          102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