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5 - 고경 - 2022년 1월호 Vol. 105
P. 115

긍선白坡亘璇(1767-1852)의 『선문수경禪
             文手鏡』의 선론禪論을 반박하기 위한 저
             술로 이들의 선 논쟁은 점차 확대되어

             반세기 이상 조선 후기 선종사를 지배

             했으며, 당시 선학禪學이 발전할 수 있
             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초의는 당대의
             유학자였던  다산  정약용과  해거도

             위海居都尉 홍석주洪奭周, 자하紫霞 신

             위申緯,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와 함께
             시를 주고받는 등 폭넓게 교유하니
             “옛  동림사東林寺의  혜원慧遠이나  서
                                                 사진 2. 초의의순 선사(1786-1866).
             악西嶽의 관휴貫休라 지칭하여 명성이

             일시에 자자했다.”라고 한다. 특히 정약용과의 교유는 유서儒書와 저술에
             대한 법을 익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시도詩道 또한 다산에게서 배웠는
             데, 그 천기天機가 넘쳐흘렀다. 1813년 51세의 정약용이 26세 초의에게 보

             낸 글에는 시에 대한 가르침이 잘 나타나 있다.



                  시라는 것은 뜻을 말하는 것이다. 본디 뜻이 저속하면 억지로 청고
                  한 말을 하여도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본디 뜻이 편협하

                  고 비루하면 억지로 달통한 말을 하여도 사정에 절실하지 못하게

                  된다. 시를 배움에 있어 그 뜻을 헤아리지 않는 것은 썩은 땅에서
                  맑은 샘물을 걸러내려는 것 같고, 냄새나는 가죽나무에서 특이한
                  향기를 구하는 것과 같아서 평생 노력해도 얻지 못할 것이다. 그러

                  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천인天人과 성명性命의 이치를 알고 인



                                                                         113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