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9 - 고경 - 2022년 1월호 Vol. 105
P. 119

와 뛰어난 제자들은 원하기만 하면, 초선初禪, 제이선第二禪, 제삼선第三禪,
             제사선第四禪, 공무변처空無邊處, 식무변처識無邊處, 무소유처無所有處, 비
             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를 구족하여 머문다. 다시 일체 비상비비상처를 완

             전히 초월하여 상수멸想受滅에 들어 머문다.(SN.Ⅱ.210-212) 이러한 구차제

             정九次第定을 통해 삼명과 육신통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경에서는 마하깟사빠(Mahākassapa, 大迦葉) 존자가 삼명을 갖추었다
             고 설한다. 다른 경(SN8:12)에서는 왕기사(Vaṅgīsa) 존자가 “세 가지 명지

             [三明]를 나는 증득하였고(tisso vijjā anuppatta)”(SN.Ⅱ.196)라고 밝히고 있

             다. 「빠와라나 숫따(Pavāraṇa-sutta, 自恣經)」(SN8:7)에 “비구들이여, 이들
             오백 명의 비구들 가운데 60명의 비구들은 삼명(tevijjā)을 갖추었고, 60명
             의 비구들은 육신통(chaļabhiññā)을 갖추었고, 60명의 비구들은 양면으로

             해탈(ubhato bhāgavimutta, 兩面解脫)하였고, 나머지는 지혜를 통한 해탈

             (paññāvimutta, 慧解脫)을 하였다.”(SN.Ⅱ.191)라고 묘사되어 있다. ‘양면으
             로 해탈한 자’는 무색계 삼매(공무변처부터 비상비비상처까지)와 더불어 아라
             한과를 증득한 자를 뜻하고, ‘지혜로 해탈한 자’는 무색계 삼매 없이 아라

             한과를 증득한 자를 말한다.

               이와 같이 붓다시대에는 삼명이나 육신통을 얻은 비구들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삼명이나 육신통을 얻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
             니었던 것 같다. 그러나 동아시아불교에서는 ‘여섯 가지 초감각적 지각’

             혹은 ‘여섯 형태의 보다 높은 지식(chaļabhiññā)’을 ‘육신통六神通’으로 번역

             함으로써 상상할 수 없는 아주 굉장한 초능력으로 인식하게 되었던 것으
             로 보인다. 그러나 초기불교에서 인정되었던 초감각적 지각이나 힘은 누
             구나 선정의 수행을 통해 체득할 수 있는 것이었다.

               붓다는  출가한  후  알라라  깔라마(Āļara  Kālāma)와  웃다까  라마뿟따



                                                                         117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