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고경 - 2022년 3월호 Vol. 107
P. 41

종영가집』(1499), 『몽산화
             상육도보설』(1521), 『인천
             안목』(1529), 『십현담요해

             언해』(1548), 『선종영가집

             과주설의』(1568), 『원돈성
             불론』(1604), 『고려국보조
             선사수심결』(1799), 『육조

             대사법보단경』(1869) 등

             이 확인된다.
                                     사진 1. 『십현담요해』(1475).
               그 중 『십현담요해』와
             『십현담요해언해』는 2009년 9월에 처음 학계에 소개된 희귀본과 유일본으

             로 많은 관심을 받기도 했다. 『십현담요해』는 중국 동안상찰同安常察(?~961)

             선사가 조동종曹洞宗의 개조인 동산양개洞山良价(807~869)의 동산오위洞山
             五位를 열 가지 조항으로 칠언팔구七言八句 율시律詩로 해석하고, 여기에 청
             량문익淸凉文益(885~958)과 김시습金時習(1435~1493)이 주석을 덧붙인 책이

             다. 【사진 1】 다소 어려운 내용 탓일까 조선시대에 대중적으로 더 이상 간

             행되지 못했던 이유가 있을 것이다.


                영가선사서




               백련암에는 선종의 제6조 혜능慧能(638~713) 선사를 찾아가 법거량을 하
             고 하룻밤 쉬어갔다 하여 일숙각一宿覺이라고 불렸던 당나라 영가현각永嘉
             玄覺(665~713) 선사와 관련된 저술도 주목된다. 『영가진각선사증도가』와 3

             종의 『선종영가집』이다.



                                                                          39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