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4 - 고경 - 2022년 5월호 Vol. 109
P. 114

소설 4편과 희곡 1편은 전문학교
                                         재학생의 작품으로 완성도가 그리 높
                                         지 않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문학 수련의 기간이 비교적 짧았던

                                         그들의 작품 속에 불교문학의 오랜
                                         전통으로 시대마다 재창조되는 인간
                                         존재의 비극성에 대한 나름대로의 탐

                                         구와 새로운 구성의 시도를 하고 있

                                         다는 점은 주목된다. 이는 불교문학
                                         의 근대적 전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진 6. 김어수 시비.
                                         사례로 기억할 만하다. 그들은 『룸비
          니』를 다양한 시선으로 삶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리트머스 시험지로 활용

          하였다. 이런 점에서 『룸비니』는 문학청년인 중앙불전 학생들의 역량을 키
          우고 발휘하는 문학의 장으로서 충분한 기능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
          다.










          ▶
          영동 신항리 석조여래삼존입상
          보물 제 984호, 통일신라, 충북 영동군 용산면 서신항길 135-8 소재.
          충북 영동군 소재 옛 석은사지에 세워진 통일신라시대의 석불입상이다. 직사각형의 네모나고 평평한 돌
          에 새겨진 이 불상은 중앙의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입상이 배치된 삼존불三尊佛 형식을 이루고 있
          다. 본존불은 민머리 위에 작은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있고, 둥근 얼굴에는 미소를 띠고 있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입은 두꺼운 옷은 가슴에서 U자형을 이루고 있다. 좌우의 보살상은 각각 손으로 물건을 잡거나 합
          장한 자세를 하고 있다. 반듯하면서도 단아한 어깨와 중후한 체구 등 신체 각 부분에서 옛 형식이 나타나는
          이 삼존불상은 태안마애삼존불상 등과 함께 7세기 석불상을 계승한 것으로 보이며, 7세기 후반 내지 8세기
          초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2022년 2월 26일 현봉 박우현 촬영)



          112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