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0 - 고경 - 2022년 6월호 Vol. 110
P. 130

기도  했다.  찬자들이  대둔사의
                                             창건이나 그와 관련된 인물들에
                                             대한 『죽미기』의 기록을 비판하

                                             고, 그 사실을 면밀하게 규명할

                                             수 있었던 것은 역사서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자료의 수집을 비
                                             롯한  고증에서  비롯된  것이었
          사진 1.  『대둔사지』 찬술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다. 여기에는 당시 유배와 있던

          정약용의 영향이 컸다. 사지의 체재나 찬술방법론에서 그가 관여했던 흔적
          은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컨대 체재는 한 주제를 제시한 뒤 그에 대
          한 관련 자료를 망라하여 자신의 논지를 증명하는 방식이었다. 여기에 실

          증적 역사학 방법은 광범위한 자료수집과 엄격한 자료비판에 근거하여 논

          리적으로 타당한 결론을 끌어내는 것이었다.
           정약용이 강진 유배기에 두 아들에게 쓴 편지에서는 “저서著書의 방법은
          반드시 그 시대의 선후를 안 뒤 고증考證·증험證驗할 수 있다.”고 하여 그

          가 역사적 사실을 연대에 따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중시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一.  일가一家의 설만이 있거나 제가諸家의 설이 같으면 그냥 기록하고,

              一.  제가諸家의 견해 차이가 있으되 큰 문제가 아닌 경우 ‘어떤 사

                 람은 이렇게 말한다[只云 一云如此]’라고만 말하며,
              一. 큰 문제인 경우 각자의 인명 또는 서명을 기록한다.



           인용문은 정약용이 37세(1798)때 지은 「진사기찬주계進史記纂注啓」 서두에



          128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