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9 - 고경 - 2022년 12월호 Vol. 116
P. 109

사진 8. 등설헌, 등설 손애섬. 고천 서각.





               현판의 명칭은 그 걸리는 곳에 알맞은 의미나 유래가 있는 좋은 어귀를
             따서 짓는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부터 고도의 문화생활을 영위하였으
             므로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문선』 등 여러 문헌에 현판이 있었다는 기

             록이 있으나 현존하는 것은 거의 없다.

               현존하는 현판으로는 신라 때의 명필 김생金生(711~791)의 글씨로 된 공
             주 마곡사麻谷寺 ‘대웅보전大雄寶殿’ 현판이 가장 오랜 것으로 전해지고 있
             다. 또한 고려 공민왕의 어필御筆인 영주 부석사浮石寺의 ‘무량수전無量壽殿’

             이 있다.

               현판은 때로는 재난을 방지하는 부적符籍 구실도 하였다 한다. 서울의 남
             문인 ‘숭례문崇禮門’의 편액을 가로가 아닌 세로로 건 것은 그 남쪽에 있는
             화산火山인 관악산冠岳山의 불기운을 막는다는 의미에서였다 하며, 동문인

             흥인문興仁門의 편액은 ‘지之’를 더해 ‘흥인지문興仁之門’이 되어 다른 문과

             달리 4자의 편액이 된 것은 문이 위치한 동쪽 지역이 낮아서 그것을 보충
             하기 위한 것이라 전한다.  또한 교태전과 강녕전 등의 궁중 현판은 최고
             급으로 치는 검은 색의 옻칠 바탕에 금색 글자이다.  검은 바탕인 것은 불

             을 제압한다는 뜻이 숨어 있다.



                                                                         109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