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5 - 고경 - 2022년 12월호 Vol. 116
P. 125
로운 발전의 여지는 없을 것이다. 완벽하게 참이 아니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전보다 참에 더 가까이 접근하는 새로운 과학이론이 필요할
것이다. 과학이론의 한계가 이론체계가 발전하게 되는 요인이다.
성공적인 과학이론이라면 보통 큰 문제를 가지고 있지 않다. 수성의 원
일점遠日點(aphelion)과 근일점近日點(perihelion)이 이동하는 문제는 어찌 보
면 뉴턴역학의 전체 체계 안에서 사소하다거나 예외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예외적인 문제를 해결하면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등장했다.
예외적인 문제를 해결하면서 거대한 변화가 일어난 예는 아주 많다. 몇
몇 행성에서만 관측되는 외행성의 역행逆行을 설명하면서 태양중심설이
나왔고, 눈에 쉽게 띄지 않는 생명종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진화생물학
이 제시됐으며, 이전에는 알아차리지도 못했던 흑체복사나 광전효과를 설
명하면서 양자역학이 나왔다. 어찌 보면 예외적일 수도 있는 문제를 해결
하면서 과학은 비약적 발전을 했다. 과학은 기존 이론에 대한 확증이 아니
라 기존 이론에 대한 반박에서 도약한다.
북쪽을 따라가다 보면 마침내 북극에서 북쪽은 사라진다
과학이론의 세계를 잠시 접어두고, 휴대폰 없이 방향을 가늠해야 하는 상
황을 상상해 보자. 밤이라면 북극성을 찾아 북쪽이 어느 방향인지를 알 수
있다. 북극성을 향해 섰을 때, 우리 눈이 바라보는 지표면 방향이 진북(true
north)이다. 우리 위치에서 북극성과 가장 가까운 지평선 위의 방향이다.
지구가 자전하므로 지상에서 보는 모든 천체는 하루에 한 바퀴씩 회전
한다. 북반구에서 단 하나의 예외가 북극성이다. 북극성은 지구 자전축 위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