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고경 - 2023년 1월호 Vol. 117
P. 59

법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
             로 불교철학과의 연관성하에서 제
             시되고, 불교사적으로 다양하게 제

             시되고 있는 마음에 대한 이해를 반

             영한다. 서구 심리학은 과학적 방
             법론을 사용하면서 철학에서 독립
             하여 자신의 차별성과 고유성을 부

             각시켰다. 반면 불교철학에서는 마

             음이 존재의 일종으로 제시되므로
             불교철학과  불교심리학은  연속성
             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불교심소학(Buddhist cetasikalogy)

             은  마음의  다양한  기능을  다루는
                                               사진 3.  초전법륜상은 붓다에 의한 본격적인 상담
             분야이다.  불교에서  심心·심소心                    의 시작을 보여준다.
             所의 구분은 학문의 영역을 구분할

             만큼 중요하다. 이를 통해서 마음 자체에 대한 탐구와 마음의 다양한 기능

             에 대한 탐구를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심소에 의한 마음의 다양
             한 기능들을 서구심리학에서는 인지, 정서, 행동, 성격 등으로 다루고 있
             다. 각각이 하나의 심리학으로 성립할 만큼 광범위하다. 서구심리학의 네

             가지 주요 기초심리학인 인지심리학, 정서심리학, 행동심리학, 성격심리

             학이 모두 불교심소학의 영역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불교심리치료(Buddhist psychotherapy)는 마음의 변화에 대한 탐구 분야
             라고 할 수 있다. 마음 자체가 있고, 이 마음은 다양한 기능을 하고, 그 기

             능으로 인해서 마음은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러한 마음의 변화를 탐구하는



                                                                          57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