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고경 - 2023년 1월호 Vol. 117
P. 55

이다. 이때 도를 닦는 것은 심리치료라는 작업보다 고원하지만 심리치료
             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불교에서 심리치료는 상담 또는 명상보다 넓은 범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필자는 처음 불교심리학을 공부하면서 불교심리학의 분류를 시도

             하였다. 처음 불교심리학(Buddhist Psychology)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아
             주 현실적인 이유 때문이었다. 나는 불교학 가운데서도 중관학을 전공했다.
             이제 불교학만 하면 되겠거니 하면서 불교학 연구에 매진하려고 했다. 부

             처님께서 공부를 더 시키려고 해서 그런지, 발령을 불교상담학 전공으로 받

             았다. 이때부터 불교상담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다.
               특히 처음 불교상담을 접하는 원생들에게 불교상담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막막했다. 그리고 보통 학생들의 첫 질문이 “교수님, 저는 불교도 모

             르고 상담도 모르는데 불교상담을 공부할 수 있을까요?”라는 것이었다.

             불교를 처음 접하는 사람은 불교를 매우 광범위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게 되었다. 그래서 생각해 낸 방편이 “불교는 넓은 것이 사실이지만 불교
             가운데 불교심리학은 불교의 한 분야일 뿐 이것은 한 학기 강의만 들으면

             되고, 이를 토대로 불교상담을 시작할 수 있다.”고 다독였다. 학생들은 매

             우 만족하였지만 이제부터 나는 불교심리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정립해
             야 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불교심리학에 대한 정의와 영
             역을 구상하게 되었다.




                심리학과 심리치료의 관계


               학생들은 상담기법을 빨리 배우고 싶어 한다. 상담의 메뉴얼과 메커니

             즘을 배우고 싶어 한다. 상담은 일종의 프랙티스이기에 이론보다는 실제



                                                                          53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