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고경 - 2023년 2월호 Vol. 118
P. 43
는 의식이 확산되면서 국내에서
도 1995년에 6월 ‘환경의 날’이
제정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그
주된 동력이 불교계였다는 사실
1)
은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어느 환경론자의 정의대로 “불
살생을 오계의 으뜸으로 하면서
불교의 사상, 전통과 청규, 그리
고 모든 수행은 자연을 경외하며
생명을 모시고 살려온 역사였
다. 불교의 일상적인 생명살림 사진 10. 오직 우리 인간만이 자연이 받아들일 수 없
는 쓰레기들을 만들어 낸다.
의 가르침과 전통이 오늘날 위기
시대에 각별히 사회운동에서 주목받는 이유도 그것이다.”
2)
내가 라다크에서 힘들게 가져온 에코백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인쇄되
어 있다. 우리 모두 더 늦기 전에 곱씹어 보아야 할 화두이리라.
“오직 우리 인간만이 자연이 받아들일 수 없는 쓰레기를 만들어 낸
다.(Only we humans make waste that nature can’t digest)”
1) <정토회 에코붓다>, <공해추방불교인모임>, <두레생태기행>, <사찰생태연구소>, <맑고 향기롭게>, <인
드라망생명공동체>, <불교환경연대>, <조계종 환경위원회>, <인드라망생명공동체>, <불교생태콘텐츠
연구소>, <국제기후종교시민네트워크>, <세상과 함께> 등등.
2) 유정길, 「한국불교 환경운동의 역사와 미래」, 계간 『불교평론』 82호(2020년 여름호).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