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1 - 고경 - 2023년 3월호 Vol. 119
P. 161

동력이자 공통의 선이 존중되는 새로
             운 도덕 원리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방법론적 차원에서 내적·외적 방향

             만 추구하는 서양철학보다 뛰어난 것

             으로 위치지었다. 원효는 일제 강점기
             부터 불교학계의 큰 주목을 받았고 화
             쟁을 비롯한 원효의 사상은 최남선이

             통불교론을 주창할 때 주요 근거로 쓰

             기도 했다. 그렇지만 서양철학을 의미
             하는 철학 분야에서 원효를 재발견하
             고 새롭게 조명하게 된 데에는 박종홍                 사진 4.  국민교육헌장. 박종홍은 기초위원으
                                                      로 활동하는 등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의 역할이 컸다.

               박종홍은 서양철학과 한국의 전통 사상을 융합하여 현대의 한국사상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는 외래 사상을 제대로 수용하기 위해서는 내면적 자
             각과 민족적 주체성이 있어야 함을 강조했다. 또한 전통 사상의 전승과 외

             래 사상의 섭취가 변증법적으로 통일되어야만 현대 한국의 새로운 사상을

             창출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 점에서 그의 선구적 혜안과 학문적 기여도
             는 높이 평가할 만하다. 다만 당시의 시대 분위기에서 그의 주장은 철학이
             라는 학문적 울타리에 머물지 않고 민족의 주체성과 국민 총화를 전면에

             내건 국가 이데올로기로 전용될 소지가 있었다. 이미 제국주의 일본에서

             화엄의 ‘일즉다一卽多 다즉일多卽一’을 천황과 신민의 관계로 비정하거나 야
             마토大和의 화和를 조화와 화합의 국민정신으로 이해하는 등 철학을 정치
             에 활용한 사례와 유사하게, 국민교육헌장의 제정 등 현실 속에 투영된 그

             의 철학적 실천은 찬반의 극단적 평가를 낳았다.



                                                                         159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