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6 - 고경 - 2023년 3월호 Vol. 119
P. 76

도솔천에  상생하는
                                                     미륵도상은 중국과 한
                                                     국의  조상이  다르다.

                                                     중국의 미륵도상은 교

                                                     각상이고 한국은 반가
                                                     상이다.  중국  윈강석
                                                     굴을 보면 미륵삼존불
          사진 1.  윈강 11굴 명창 미륵불감. 천개는 만다라 꽃문양이 가득하
              다. 천개 위 좌우에는 각 세 명의 천자들이 미륵본존불을 향      불감 140여 개 정도가
              하여 합장하며 경배하고 있다. 미륵불감 좌우의 협시불감에
              도 각 3인의 천자가 미륵을 경배하고 있는 형상이다.          각  석굴에  분포되어
                                                     있다.  윈강석굴의  불
          상 조성은 460년경 북위(386∼534) 문성제(재위 452∼465)부터 493년 수도를

          평성(현재 다퉁)에서 낙양으로 천도할 때까지 가장 활발했다. 위의 140여 개

          미륵불감은 이 시기에 대부분 조성된 것이다. 미륵불감은 교각보살상이 본
          존불이고 좌우 반가상이 협시로 앉아 있는 구성이다.
           필자는 윈강석굴 미륵불감 140여 개의 교각상과 반가상을 관미륵보살

          의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미륵상생보살’ 도상  이라고 하였다. 또한 미륵보
                                               1)
          살의 보관과 영락장식, 천의, 수인, 미륵보살이 앉아 있는 불감의 대좌, 협
          시상, 천개天蓋를 분석하여 그 도상의미를 밝혀냈다. 천개는 불상의 윗부
          분을 덮는 장식물이며, 불교미술의 장엄구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미륵

          상생보살’ 도상의 의미는 천주상, 내영상, 설법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번 호부터 『상생경』에 근거하여 관미륵보살의 대상인 미륵보살상과
          그를 둘러싼 모든 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미륵상생보살의 도상의




          1) 고혜련, 『미륵과 도솔천의 도상학』, (일조각, 2011), 156쪽.


          74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