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5 - 고경 - 2023년 8월호 Vol. 124
P. 155
접목한 성과라 할 수 있다.
주요 저작으로는 『신라 정토사상사 연구』
(1976, 1987 재간), 『한국불교사 연구』(1982),
『한국불교사상사 연구』(1983)를 꼽을 수 있
다. 『신라 정토사상사 연구』는 그의 박사논
문을 보완하여 책으로 간행한 것으로, 원효,
경흥, 의적, 현일 등의 사상과 신라 정토 교
학의 전반적 문제를 고찰했다. 이는 역사학
사진 4. 『한국불교사상사 연구』
의 관점과 불교학의 교리적 바탕 위에서 이 (동국대출판부, 1983).
루어진 연구였기에 크게 주목받았고 이후 관련 연구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또 유고집인 『한국불교사상사 연구』는 불교 교학과 역사를 접목
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엮어서 묶은 것으로, 삼국불교의 전개와 신라의
대중불교, 원효와 경흥의 미륵정토 사상, 의례를 필두로 한 고려불교의
연구 등으로 되어 있다.
『한국불교사 연구』도 사후에 나온 것으로 총론을 비롯해 모두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장 총론에서는 한국사에서 불교의 위치, 불교의
수용과 특질 등을 기술했다. 그는 삼국시대에는 불교를 정치에 활용했고
고려 말 이후에는 유불 교체로 인해 배척당했지만 불교야말로 한국 정신
문화의 주류였다고 단언했다. 또 주체적 수용과 신앙의 접목, 통일적 이념
을 한국불교의 특색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동아시아 불교의 특징을 국가,
효와의 결합, 기복과 습합이라고 정의한 뒤 한국불교는 국가불교, 주술불
교, 장례불교의 특색이 강하고 호국신앙과 호국불교, 토착신앙과의 습합
이 현저하다고 평가했다.
제2장 신라불교의 전개에서는 교학 사상, 국가관과 사회윤리, 불교 신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