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6 - 고경 - 2023년 8월호 Vol. 124
P. 156
앙을 다루었다. 신라의 대표적 사상으로는 삼국통일 이념으로서 법화사
상, 모든 모순과 대립을 넘어서는 원효의 화쟁사상, 의상의 원융적 화엄사
상, 원측과 유식사상, 계율과 정토사상 등을 서술했다. 또 원광의 세속오
계와 같은 사회윤리, 자장의 호국이념, 정토신앙의 대중화와 밀교 등을 언
급하고 정토신앙의 대중적 확산을 강조했다.
제3장 고려불교의 새로운 전개는 고려불교의 시각, 조계종과 오교양종,
호국신앙과 불교, 불교사서, 불교와 유학의 교류 등으로 되어 있고 불교 교
단, 신앙과 의례 등을 짜임새 있게 정리해 놓았다. 그는 고려불교의 연구
방향에 대해 “사회경제사나 문화사적 배경하에서 불교사를 역사학으로 끌
어올리고 사상사적 방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끝으로 제4장 배불하의 조선불교에서는 불교 억제책과 불교계의 동향
등을 소개하고 왕실불교와 승려의 경제활동, 불교 신앙의 대중화 등을 거
론했으며, 근대기로 넘어와서는 3·1 운동과 불교계의 상황을 기술하고 주
요 인물로 한용운과 이능화를 들었다.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