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5 - 고경 - 2023년 9월호 Vol. 125
P. 165

현대신유학의  완성자로  평가
             되는 만큼 모종삼 철학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유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불교사상과의 관

             련성은  생략되거나  상대적으로
             과소평가 되어왔다. 그러나 근현
             대 시기 서양사상이 새로운 시대

             사조로 대두하게 되자, 근대 이              사진 2.  1991년 홍콩 신아서원에서 임안오林安梧 교수
                                                 와 함께한 모종삼.
             전에 주자학에 눌리고 있던 불교
             와 양명학이 발전의 계기를 맞았다.
               이때 불교 내부에서는 유식종이나 천태·화엄종 등 불교사상을 양명학

             계열의 유학사상과 결합하여 새로운 철학을 건설하려는 시도가 진행되었

             다. 그 대표적인 흐름이 웅십력熊十力에서 시작하여 모종삼에서 완성되었
             다고 평가되는 ‘현대신유학現代新儒學’, 또는 ‘현대신불학現代新佛學’이다.
               내면의 도덕적 결단을 중시하는 불교와 양명학이 도덕면에서 동양의 우

             위를 주장하려는 현대신유학의 의도에 더 적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

             여 불교와 유학, 특히 양명학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새로운 철학을 형
             성해 나가게 된다. 모종삼은 이러한 사상적 발전의 가장 정점에 선 철학자
             이다.

               모종삼은 웅십력에게 직접 교육을 받았고, 두 사람 모두 양명학을 종주

             로 본심本心·인체仁體의 의미를 밝혔다는 점에서 동일한 학문 경로를 걸
             었다고 할 수 있다. 유학의 ‘도덕적 형이상학’ 정립에 웅십력이 기초를 놓
             았다면 모종삼은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고 평가된다. 유학은 인간의 내재

             적 도덕성으로 본성을 설명하고, 이러한 본성이 『중용』에서 말하는 천도天



                                                                         163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